한국지역정보개발원 발주..10.78억원
3월 중 사업자 선정..8개월간 컨설팅
네이버, KT, LG, SKT, 카카오 중 어떤 모델이 될까
정부, 한 개 LLM 독점 사용 안해..멀티LLM 시사
대기업 참여제한 예외..20%금액까지 참여가능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5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범정부 초거대 AI 공통기반 구현 및 AI기반 디지털 행정혁신 체계 수립을 위한 업무프로세스(BPR)/정보화전략계획(ISP)’을 발주했다. 이 사업에는 10억 7800만원의 예산이 마련됐으며, 입찰은 3월 6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3월 중 업체를 선정하고, 그 후 8개월 동안 컨설팅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핵심은 △민간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활용해 정부의 행정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것(행정 전용 LLM)과 △행정 전용 LLM을 위한 데이터 공유 및 관리체계 마련 △여러 부처가 함께 쓸 수 있는 AI 공통기반 서비스 활성화 기반 마련 등이다. △공무원 행정업무 처리에 특화된 AI 서비스(가칭 ‘AI 행정비서’) 제공과 △클라우드 기반 웹오피스 기반의 업무 환경 구축도 주문했다.
정부는 특히 민간의 파운데이션 모델 도입시, 업무별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민간 AI 모델을 선택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하라고 주문했다. 이는 한 사업자 모델을 독점적으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아울러 법령, 통계정보, 정책브리핑, 보도자료, 국가기록원 기록물, 디지털집현전 자료 등 기관 간 공유가 가능한 데이터 체계를 마련해 달라면서, 웹오피스 환경을 만들어 공무원의 개별 PC에 별도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아도 실시간 소통 및 협업을 지원하고, 문서 제작부터 공유, 결재에 이르는 전과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게 하라고 했다.
초거대 AI 공통기반 목표시스템 개념도 . 출처=한국지역정보개발원 제안요청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컨설팅 결과에 따라 정부 AI 본사업의 방향이 정해질 전망이어서 IT 업계 합종연횡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 프로젝트 금액은 20억 원 미만이지만 소프트웨어진흥법에서 대기업 참여 제한 예외를 일부 인정받아 대기업도 사업 금액의 20% 이내에서 참여할 수 있다. 다만, 주사업자는 안 된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올해 일원화된 AI 플랫폼 도입을 선언한 만큼, 네이버, KT, LG, SKT, 카카오 등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자체 개발 업체들이 컨소시엄을 조직하여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