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TWO IFC에서 열린 ‘일본의 기업거버넌스 개혁에서 배운다’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관투자자들의 의결권 행사를 늘리고, 주주 환원을 확대한 게 일본 ‘밸류업’의 성공 비결”
정부가 한국 증시의 저평가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오는 26일 발표하기로 한 가운데 19일 서울 영등포구 TWO IFC에서 ‘일본의 기업거버넌스 개혁에서 배운다’를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니케이신문에서 30년간 일본과 해외 금융시장을 취재한 코다이라 기자는 세미나에서 일본의 주가순자산비율(PBR) 개혁 성공 요인으로 2014년 일본 아베 내각의 기업지배구조 코드·스튜어드십 코드, 2023년 도쿄증권거래소(TSE)의 PBR 개혁 등을 꼽았다. 2014년 4월 도입된 기업지배구조 코드는 기업에 상호출자주식과 같은 정책보유주식의 목적과 합리성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한편 이사회 등에 의한 검증내용을 기재하도록 하는 제도다.
코다이라 기자는 “기업지배구조 코드와 함께 도입된 일본 스튜어드십 코드는 기관투자자가 의결권을 적절히 행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면서 “2017년부터는 개별 투자기업에게 의안별 의결권행사 결과를 공표하도록 해 의결권행사가 증가하는 배경이 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3월 도쿄증권거래소(TSE)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진입 유도, 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PBR이 1 이하인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일본판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인 ‘자본비용과 주가를 의식한 경영’의 실천 방침과 구체적인 이행 목표를 매년 공개하도록 요구했다. 코다이라 기자는 “이들 기업이 지난해 배당금을 늘리는 한편 자사주를 매입해 주주 환원을 확대하면서 PBR 상승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패널토론에 참석한 김준섭 KB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이런 일본의 PBR 개혁은 일본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갑자기 확 변하게 된 촉매였지만 그동안 꾸준하게 온도가 올라왔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면서 “물의 온도가 그동안 올라왔기 때문에 이제야 끓으면서 효과가 나타난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단기 배당에만 치중하면 안돼···지배구조 개혁 선행돼야”
반면 김광기 ESG경제 대표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PBR 개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경계하면서 ‘이사회 개혁’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주주들은 주총 안건으로 이사 선임 건이 올라오면 그중에서 찬반을 투표할 뿐이지 자기들이 원하는 대리인을 이사회에 보낼 수 없다”면서 “막대한 지분을 갖고 전체 이사회를 지배하는 상황을 타파하고 이사회부터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들이 단순히 자산을 축적해 PBR을 올릴 수도 있는 만큼, 기업 지배구조 개혁이 선행되어야지 단지 단기의 배당, 환원에만 치중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논평을 통해 밸류업 프로그램의 성공 조건으로 기업 밸류업의 주체가 경영진이 아닌 이사회임을 명확히 하고, 보고서에 이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이사 이름을 표기해 책임과 의무를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밸류업 프로그램을 한 번 시작하면 최소 3∼5년 장기간 추진할 것도 강조했다.
권정혁 기자 kjh0516@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