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뇌졸중 전문의 1명이 환자 500명 진료··· 초고령화로 치료체계 ‘흔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대한뇌졸중학회가 14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초고령화 사회에서의 뇌졸중 치료체계에 대한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대한뇌졸중학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뇌졸중 전문의 인력 부족이 치료체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뇌졸중학회는 14일 ‘초고령화 사회에서 뇌졸중 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현황 분석 및 발전 방안 모색’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어 정부의 필수의료 지원대책이 나오고 있음에도 뇌졸중 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준비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학회는 국내 뇌졸중 환자의 50%는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의 진료권에서 정맥내혈전용해술, 동맥내혈전제거술 등 뇌졸중 최종 치료를 받을 수 없다고 밝혔다. 전국 상급종합병원과 수련병원에 재직 중인 뇌졸중 전문의가 209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학회는 일부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는 전문의 1명이 뇌졸중 환자 500여명을 진료한다고 밝혔다.

이날 주제발표를 진행한 김태정 학회 홍보이사(서울대 의대 신경과)는 “‘빅5’ 병원 중에도 뇌졸중 전문의가 없는 곳이 있을 정도”라며 “2050년이 되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약 2000만명에 달해 매년 새로운 뇌졸중 환자가 35만명씩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턱없이 부족한 뇌졸중 전문의 인력 문제로 이미 치료체계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일 지역 필수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정책에는 의료인력을 확충하고 지역의료를 강화하며 의료사고 안전망을 확충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학회는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선 시급한 인력 확보 문제를 비롯해 뇌졸중 질병군 분류 체계를 수정하고 보상 방안을 마련하는 대책이 우선 나와야 한다고 제언했다.

차재관 학회 질향상위원장(동아대 의대 신경과)은 “현재 수련병원 74곳에 전공의가 86명 정도 있는데, 현재의 2배 수준인 160명으로는 증원돼야 안정적으로 인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며 “정부에서 추진하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맞게 전문의 중심 진료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면 필수의료와 관련된 신경과 전공의 증원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뇌졸중은 발생 환자의 80% 정도가 후유장애를 겪는 중증질환이다. 그런데도 일부 환자만 전문진료질병군으로 분류된다. 이경복 학회 정책이사(순천향대 의대 신경과)는 “상급종합병원은 지정 기준 상 전문진료질병군 환자를 30% 이상 진료해야 하므로 일반진료질병군으로 분류된 뇌졸중 환자는 수용하기 어렵다”라며 “이대로라면 상급종합병원에서 뇌졸중 환자 진료에 관한 관심과 진료량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말했다.

학회는 2050년에 이르면 70세 이상 1인 가구가 7만3000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어 독거노인이 골든타임 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혼자 집에 있을 때 뇌졸중 증상이 발생하면 빠르게 증상을 확인하고 초급성기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뇌졸중(Telestroke)’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배희준 이사장은 “국민 네 명 중 한 명은 죽기 전까지 뇌졸중을 한 번 이상 경험하게 된다”며 “뇌졸중 치료체계가 무너지지 않으려면 인적 자원 확보, 보상 체계 마련 등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과 함께 치료 사각지대 없이 예방부터 급성기 치료, 장기적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해결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