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육아휴직 쓴다니 해고한 회사…신고해도 처벌받는 경우 7%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일방적인 권고사직 처리에
길게 못 쓰게 눈치주기 여전

5년간 불이익 신고 2335건
기소·과태료는 159건 그쳐

“육아휴직 신청서를 상사에게 제출하자 상사는 ‘서류를 잃어버렸다’고 했습니다. 다시 대표에게 직접 제출하니 대표는 ‘육아휴직을 받아줄 수 없다. 권고사직 처리를 하겠다’고 했습니다.”(직장인 A씨)

“아이가 호흡을 잘 못해 육아휴직을 쓰려고 하니 회사에서는 ‘너 없으면 누가 일을 하냐, 언제까지 쓸 거냐’라고 물어봐 어쩔 수 없이 3개월만 쓰겠다고 했습니다.”(직장인 B씨)

출산·육아휴직 등 모성보호 제도 사용을 막거나 이를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 사업주들이 여전히 많지만, 이에 대한 기소·과태료 처분 비율은 ‘7%’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생을 타개하겠다는 정부가 이 같은 불법을 방치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노동인권단체 직장갑질119가 이수진(비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고용노동부에서 받은 ‘모성보호 제도 관련 신고 처리 현황’ 자료를 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임신·출산·육아휴직 등을 이유로 불이익을 당했다는 신고사건 2335건 중 실제 기소·과태료로 이어진 사례는 6.8%인 159건에 그쳤다.

신고사건의 84.9%(1984건)는 ‘기타종결’로 끝났다. 기타종결이란 2회 불출석, 취하·각하, 법 위반 없음 등을 뜻한다. 직장갑질119는 “높은 기타종결 비율은 아이를 키우는 노동자가 사업주를 신고하기 어렵고, 신고한다고 해도 처벌이 이뤄질 때까지 취하하지 않고 사건을 유지하기 어려운 현실 때문으로 짐작할 수 있다”며 “막상 용기를 내 신고해도 제대로 처벌되는 경우가 드물다 보니 사업주의 압박으로 사건 진행을 중도 포기하는 이들도 많다”고 했다.

신고유형별로 처리 현황을 보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관련 기소·과태료 비율이 가장 낮았다. 남녀고용평등법 제19조의 2·3은 근로시간 단축을 허용하지 않거나 이를 이유로 해고 등 불리한 처우를 하는 경우 처벌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5년 동안 신고된 173건 중 5건(2.8%)만 기소되거나 과태료를 물었다.

육아휴직을 주지 않거나 이를 이유로 불이익을 줬다는 신고는 5년 동안 1078건이 접수됐다. 이 중 38건(3.5%)만 기소됐다. 육아휴직 관련 법 위반은 과태료 규정이 없고 형사처벌만 가능한데, 재판에 넘겨지는 사례 자체가 드물다. 출산휴가를 주지 않거나 이를 이유로 불이익을 줬다는 신고는 5년간 394건이 접수됐지만, 기소·과태료 처분은 46건(11.6%)에 그쳤다. 출산 전후 여성이나 업무상 부상·질병을 겪은 재해자의 요양기간 동안 해고를 했다는 신고는 690건이 접수됐고, 이 중 70건(10.1%)만 기소됐다.

다만 이 통계는 업무상 부상·질병 요양자에 대한 해고 신고가 섞여 있다.

직장갑질119 출산육아갑질 특별위원장인 권호현 변호사는 “임신·육아 중인 노동자는 아이에게 악영향이 있을까봐 노동청 진정이나 고소를 본능적으로 꺼리고, 더 이상 견디기 힘들 때 정말 어려운 결단으로 신고하는 것”이라며 “이번에 확인된 노동부의 관련 법 집행 통계는 절망적인 수준”이라고 했다.

조해람 기자 lenno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