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모바일 게임 소식

中굴기ㆍ규제 칼날 속…'게임 홀대론' 레벨업 꿈도 못 꿔 [K게임 진흥 실종사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이템 정보공개에 수익성 비상
中게임 역습…국내 빅3도 위협
콘텐츠 수출의 60% 차지하지만
부정적 인식 등 천떡꾸러기 신세
업계 "정부 지원 없이 혁신 못해"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게임이 위기다. 국내 콘텐츠 산업 수출 효자로 불리며 고속성장해온 게임업계가 중국 게임 굴기와 규제로 이중고에 직면했다. 중국 게임사의 추격으로 안방 시장을 내줄 위기에 몰린 데 다, 게임 산업을 향한 정부의 규제 수위가 높아지면서 3N(넥슨, 엔씨소프트, 넷마블) 등 대형 게임사까지 경영 위기를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3년 상반기 콘텐츠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게임 산업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9% 감소한 9조3980억 원으로 집계됐다. 게임 산업 반기 매출 10조 원이 무너진 것은 2021년 상반기 이후 처음이다. 수출액도 같은 기간 5.7% 감소한 34억4601만 달러(약 4조 5860억 원)로 빨간불이 켜졌다. 게임 산업 종사자 수도 8만222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했다.

무엇보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렸던 모바일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게임들이 성장 한계에 봉착하면서 ‘변화’를 원하는 절박감이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그동안 ‘영업비밀’을 이유로 확률을 공개하지 않았던 게임사들은 3월 22일부터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 의무화로 수익성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게임 업계는 △글로벌 시장 공략 △콘솔 게임 도전 △비용절감 등의 경영효율화를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정부의 지원 없이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아무리 경쟁력 있는 게임을 개발해도 규제로 인해 시장에 나올 수 없는 일이 반복된다면 누가 혁신적인 서비스를 내놓기 위해 뛰어들겠나”라며 “게임 산업 역사가 3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정부에서는 게임을 부정적이고 사회악의 축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진흥책 수립에 앞서 인식 개선이 시급해 보인다 ”고 비판했다.

정부 출범 초기부터 ‘K-콘텐츠 육성’을 외친 문화체육관광부는 콘텐츠 산업 수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게임 산업 홀대론에 휩싸였다.산업 진흥 의지가 보이지 않은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최근에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게임 산업을 들여다보며 규제에 집중하자, 업계에서는 “놔두는 게 돕는 것”이라는 자조 섞인 한탄이 나오고 있다.

최영근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게임 산업은 반도체나 제조업과 비교하면 일자리 창출 면에서 기여도가 낮다는 인식이 있지만 미국, 중국 등 다른 국가에서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게임 산업의 국가 경제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며 “우리도 게임 산업을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에 맞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당초 게임 이용자 권리 향상과 현안 규제 개선을 통한 자율 확대 등에 방점에 두고 진흥책 수립에 돌입했다. 구체적으로 △웹보드 게임 규제 재검토 △경품규제 개선 검토 △메타버스 가이드라인 등에 대한 규제 개선 등을 들여다봤지만 지난해 정치권을 중심으로 불거진 코인 게이트와 게임 이용자 권익 보호에 앞장서는 최근 정부의 행보를 미뤄 볼 때 웹보드 규제 개선이나 P2E(Play to Earn, 돈 버는 게임) 규제 완화 등을 추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이투데이/김나리 기자 (nari34@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