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제1형 당뇨병 '성인' 환자, '사회적 낙인' 느껴...'자가 관리'에도 부정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모든 연령층에서 발병할 수 있는 '제1형 당뇨병'이 '소아당뇨'로 잘못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제1형 당뇨병 관련 사회적 낙인은 청소년보다 성인에서 더 심각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헬스케어 전문 PR회사 엔자임헬스는 김동석 엔자임헬스 대표가 성인과 청소년 제1형 당뇨병 환자 총 262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낙인을 결정하는 세 가지 요소에 대해 조사했다고 5일 밝혔다.

조사 결과, 5점을 기준으로 '정체성 문제'(성인: 3.58, 청소년: 3.07), '비난과 판단'(성인: 3.50, 청소년: 2.61), '차별 대우'(성인: 2.42, 청소년: 1.83) 등 모든 항목에서 성인 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 인식이 더 높았다.

'정체성 문제'는 제1형 당뇨병 환자라는 자기 정체성에 대한 부담감과 두려움을 의미한다. 이 같은 인식은 환자가 자신이 제1형 당뇨병 환자라는 사실을 타인에게 숨기거나 공공장소에서 혈당을 확인하고 인슐린 주사를 맞는 행동을 꺼리게 만들어 건강에 위협을 줄 수 있다.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발생한다. 췌장을 이식하지 않는 한 완치되지 않으므로 인슐린 주사를 평생 맞아야 하고 적절한 자가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치명적 결과로 이어진다.

아울러 가족 지지(성인: 4.16, 청소년: 4.5), 친구 지지(성인: 3.74, 청소년: 3.76), 의료진 및 동료 환자 지지(성인: 3.38, 청소년: 3.29) 등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성인과 청소년 모두에서 높은 수치가 나타났다.

다만 청소년 환자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당뇨 자가 관리에 있어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성인 환자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는 사회적 지지에는 긍정적 지지만 있는 것이 아니라 '문제적 지지'도 존재한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과도한 연락 및 정서 표현 ▲불필요한 조언 ▲비현실적 정보 ▲통제를 시도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도움 등은 선의와 관계없이 환자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의미다.

김동석 엔자임헬스 대표는 "직장을 비롯해 사회 생활에서 자신의 질병에 대해 공개하고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제1형 당뇨병은 '소아당뇨'라는 잘못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중증 난치질환으로 인정하는 등 정교하고 실질적인 지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