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이 70일도 채 남지 않았다. 국회의원 선거는 물론 모든 선거에서 유권자의 투표 의향과 기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선거구도다. 정부를 평가하는 ‘정부 견제론’ 또는 ‘정권 심판론’이 ‘정부 지원론’ 또는 ‘정권 안정론’과 비교해 절반 이상으로 높게 나오면 사실상 야당의 승리를 예상할 수 있다. 반면 정부 여당을 지지하는 ‘정부 지원론’이나 ‘정권 안정론’이 높게 나오면 여당이 선방할 가능성이 커진다.
국민의힘 리더십이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의 품으로 가기 전만 해도 총선 구도는 ‘정부 견제론’ 또는 ‘정권 심판론’이 훨씬 더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동훈 효과’로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심지어 김건희 여사에 대한 김경률 국민의힘 비대위원의 ‘마리 앙투와네트’ 발언과 총선 방향을 놓고 벌어진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위원장 간 ‘윤한충돌’에도 불구하고 이런 흐름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는 곧 민주당의 위기가 심상치 않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윤한충돌’에도 불구하고 정작 비틀대는 쪽은 더불어민주당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달 23~25일 실시한 조사(전국1001명 무선가상번호전화면접조사 표본오차95%신뢰수준±3.1%P 응답률16.7%)에서 ‘오는 4월 국회의원 선거 과정에서 다음 중 어느 의견에 공감하는지’ 물었다. 응답 보기로 ‘여당인 국민의힘 후보가 많이 당선되어야 한다’, ‘제 1야당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많이 당선되어야 한다’, ‘양대 정당 후보가 아닌 제 3지대 후보가 많이 당선되어야 한다’는 식이었다. 국민의힘이나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각각 33%로 동률이었다. 제 3지대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답변은 24%로 나타났다.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의 충돌 직후 실시된 여론 조사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동률로 나왔다. 그동안 정부 견제론 또는 정권 심판론으로 물어보았을 때와 큰 차이가 없는 셈이다. 이 조사에서 서울, 인천경기 수도권과 충청은 양당이 박빙승부를 벌이는 결과로 나타났고 영남 지역은 예상대로 국민의힘이 더 경쟁력 있는 것으로 나왔다.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총선 구도에선 양당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부정 평가가 높게 나타나면서 총선 구도상으로는 야권에 유리한 정권 심판론이 강해졌지만 각종 여론조사에서 민주당의 지지율로 연결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갤럽이 지난 1월 30일~2월 1일 실시한 조사(전국1000명 무선가상번호전화면접조사 표본오차95%신뢰수준±3.1%P 응답률12.7%)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평가를 물어본 결과 긍정 지지율이 29%로 주저앉았다. 국민의힘 정당 지지율은 34%로 직전 조사보다 2%포인트 미끄러졌다. 대통령 긍정 지지율의 하락과 국민의힘 정당 지지율 후퇴에도 불구하고 민주당 지지율은 정체상태였다. 대통령에 대한 국정 운영 긍정 평가 수치가 20%대로 추락했는데도 불구하고 더불어민주당이 얻는 정치적 반사 이익은 없었다는 얘기다. 심지어 서울 지역의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34%, 더불어민주당 31%로 오히려 여당이 더 높게 나왔다. 총선 구도 역시 1월 말 한국갤럽 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 부정 평가가 60%를 넘는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오는 4월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정부 견제론’은 국민의힘에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는 의견과 동률이었다.
결국 해소되지 않는 이재명 대표 리스크, 여기에 추미애 전 장관과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간 대립으로 대표되는 ‘친문’과 ‘친명’ 충돌, 비례 대표제조차 결정 못하는 지도부의 우유부단, 이 모든 악재가 겹치면서 민주당이 지지율 정체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