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연금과 보험

생보 설계사 6명 중 1명 '억대 연봉'…평균 5563만원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사진제공=생명보험협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명보험 설계사 6명 중 1명은 연봉이 1억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협회가 15개 생명보험회사 및 GA(법인보험대리점) 자회자 소속 생명보험 설계사 14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직업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다고 31일 밝혔다.

조사 결과, 연 1억원 이상을 버는 고소득 설계사의 비율은 15.7%로 나타났다. 설계사의 연 평균 소득은 5563만원으로 2021년(4875만원) 대비 14% 가량 증가했다. 경력이 늘수록 소득이 상승해 14~19년차에서 최고치(평균 8030만원)를 기록했다. 1억원 이상 고소득 설계사 비율이 15.7%인 반면 경력 2년 미만 저연차 설계사의 평균 소득은 3100만원대로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됐다.

생명보험 설계사 직업 만족도는 67.9점으로 2021년 결과(63.0점) 대비 4.9점 상승했다. 고용노동부의 '2021년 한국의 직업정보 재직자 조사' 결과와 비교할 때 전체 직업군의 전반적 직업 만족도(63.2점)나 경영·사무·금융·보험직의 직업 만족도(67.2점)보다 높았다.

요소별로 만족도를 물어본 결과, 시간 활용, 동료 관계, 활동 형태, 소득에 만족 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적 평판 요소에만 불만족 응답 비율(27.5%)이 만족 응답 비율(26.6%)보다 높게 나타났다.

향후 생명보험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은 33.5%인 반면, '늘어나거나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은 66.5%였다. 생명보험 설계사 희망 근속 기간에는 '15년 이상'이라는 응답이 34.6%, '10년 이상 15년 미만'이라는 응답이 21.1%였다. 설계사 경력에 따른 차이가 뚜렷했는데, 경력이 늘어날수록 희망 근속 기간이 늘어났다.

생명보험 설계사 10명 중 7명(68.7%)은 보험 상담 진행 시, '보장 내역 및 보장 금액'을 상품 추천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설계사 소득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판매 수수료'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응답은 1.4%에 그쳤다.

설계사 연령대는 40~50대가 전체 응답자의 64.7%를 차지했다. 등록 기간(경력)별로는 경력 5년 이하의 설계사가 41.5%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평균 경력은 11.3년이었다. 응답자 성별은 남성이 18.8%, 여성이 81.2%였다. 생명보험 설계사 소속 유형별로는 생명보험회사 전속 설계사가 66.2%, GA 자회사 소속 설계사가 33.8%였다. 응답자 활동 지역(권역)은 수도권이 45.3%로 가장 많았으며, 경상권이 27.9%로 뒤를 이었다.

황예림 기자 yellowyerim@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