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오세훈, 기후동행카드 직접 써본 뒤 "이르면 4월 신용카드 충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르면 오는 4월부터 서울시의 무제한 대중교통 정기권 서비스인 '기후동행카드' 충전을 현금이 아닌 신용카드로도 할 수 있게 됩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늘(29일) 오전 지하철 2호선 시청역을 찾아 직접 기후동행카드를 구매·충전하고 탑승하는 등 현장 점검을 펼친 뒤 이 같은 계획을 밝혔습니다.

시민들이 기후동행카드를 많이 찾느냐는 오 시장의 질문에 역무원은 "시청역에서는 일 70여 장 정도가 판매되고 있다"며 "출시 초반이라 인기가 많아서 오전에 준비된 물량이 다 소진되기도 한다"고 답했습니다.

오 시장은 카드 충전과 이용의 전 과정을 하나씩 따라가면서 시민의 눈높이에서 느껴지는 불편함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개선 구상을 밝혔습니다.

오 시장은 우선 승차권 충전기에서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는 6만 5천 원권을 선택해 충전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해 시청역 개찰구를 통과한 오 시장은 "충전 과정에서 꼭 현금을 써야 하는 불편한 점에 대한 해결을 요청하는 분들이 많았다"며 "서두르면 4월 정도부터 신용카드를 활용해서도 충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신용카드 후불제 시스템을 도입해서 점점 더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기후동행카드 실물카드는 지하철 역사 내 승차권 충전기에서 현금으로만 충전할 수 있어 불편하다는 시민의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기후동행카드는 23일 판매 첫날에만 6만 장 이상 판매됐고 서비스 첫날인 27일에는 약 7만 1천 명이 이 카드를 사용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등 큰 관심을 끈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오 시장은 기후동행카드로 2호선 상행선에 탑승해 충정로역에서 하차한 뒤 종근당 버스정류장에서 472번 버스를 타고 서울광장 정류장까지 이동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버스 환승과 관련해 불편 사항은 없는지 점검하고 시민들과 소통하는 등 '민심 청취'에 주력했습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심야버스를 포함한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월 6만 원대에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카드로 27일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홍순준 기자 kohs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