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25일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조태형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부동산업과 건설업의 연체액과 연체율이 2년 만에 최대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 인상 등 통화긴축이 이어지고 부동산 경기 침체도 계속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세종과 울산 등 비수도권 부동산기업과 제2금융권의 부동산업에서 건전성 악화가 더 심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은 29일 나이스평가정보의 ‘시도별 부동산·건설업 대출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니터링 대상 약 58만개 법인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포함한 부동산 업종 대출 잔액이 2021년 말 302조7300억원에서 지난해 말 385조3800억원으로 27.3%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30일 이상 연체액은 2조2700억원에서 7조원으로 3배 증가하면서 연체율은 0.75%에서 1.82%로 2.43배 늘었다.
건설업종 대출 잔액도 2021년 말 88조5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118조3600억원으로 34% 늘었다. 연체액은 7600억원에서 1조9000억원으로 2.5배, 연체율은 0.86%에서 1.60%로 1.9배 각각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의 부실 대출 규모가 컸다. 대출 법인의 본사 소재지가 비수도권인 업체의 부동산업 연체율은 지난해 말 기준 2.17%로 수도권(1.56%)보다 0.6%포인트 이상 높았다. 특히 세종(12.66%)의 연체율이 두 자릿수를 나타냈고 울산(6.49%), 강원(5.38%), 대구(4.35%), 전북(4.33%)도 비수도권 평균치를 웃돌았다.
나이스평가정보 관계자는 “세종시 등 일부 지역 집값이 수년 전 급등했다가 최근 하락하면서 부동산중개업이나 시행사의 부실 대출도 가파르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 연체율도 비수도권이 지난해 말 1.99%로 수도권(1.27%)보다 높았다. 제주(3.70%), 대구(3.55%), 울산(3.35%), 경남(3.15%)의 연체율은 3%대를 나타냈다.
업권별로는 제2금융권의 부동산업·건설업 연체율이 지난해 말 3.29%·2.40%로 은행권(0.30%·0.57%)의 11배·4.2배에 달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말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부동산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연체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면서 “향후 부동산 시장의 하방 리스크(위험)를 고려하면 연체율의 추가적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유희곤 기자 hulk@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