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중동 긴장에도 유가 안정세 “미국 셰일붐이 안전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미국 텍사스 퍼미안 분지의 셰일 유전에서 가스를 태우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동지역 긴장 고조,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에너지시설 공격 등 여러 리스크에도 국제유가가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이 원유 생산량을 늘리면서 글로벌 원유공급의 안전판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23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 인도분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은 82센트(1.09%) 하락한 배럴당 74.37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거래되는 3월 인도분 북해 브렌트유도 51센트(0.64%) 떨어져 배럴당 79.55달러를 기록했다.

과거에 단기 악재가 터질 때마다 유가가 급등세를 탔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미국의 셰일 오일 생산량 증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결속력 약화, 중국의 원유 수요 둔화 등이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올해 세계 석유 공급량이 하루 150만 배럴 늘어나 사상 최고치인 1억3350만 배럴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미국 원유생산은 최근 셰일붐에 힘입어 지난해 12월 중순 1330만 배럴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사우디와 러시아의 하루 원유 생산량(960만 배럴 내외)을 크게 웃도는 규모다. 미국은 지난해 연간으로도 일일 1292만배럴(추정치)로 사상 최대 생산량을 기록하며 세계 1위 원유 생산국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했다. 이 중 셰일오일의 비중은 73%로 셰일붐이 생산 호조세를 주도했다.

여기에 OPEC의 ‘석유 카르텔’에도 균열이 가기 시작했다. 지난해 말 아프리카 2대 산유국인 앙골라가 감산 기조에 불만을 표하며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를 탈퇴했고, 나이지리아ㆍ이라크 등도 원유 생산을 늘리는 등 반기를 들었다. 오정석 국제금융센터 전문위원은 보고서에서 “미 셰일붐은 러-우 전쟁, OPEC+ 감산 확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홍해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을 상쇄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글로벌 원유 수급 안정 및 국제유가 상방압력 완화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세계 최대 석유 소비국인 중국의 성장 둔화도 국제유가를 끌어내리는 요인이다. 국제통화기금(IMF) 등 주요 국제기구들은 중국의 올해 성장률을 지난해보다 더 낮은 4%대로 낮춰잡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의 경제 성장도 지난해보다 둔화할 거란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올해 하반기 이후에는 원유 수요가 다소 회복되면서 국제유가가 제한적 강세를 나타낼 거란 시각도 있다. 프라이스 퓨처스 그룹의 애널리스트 필 플린은 중국이 2조위안(약372조원) 규모의 증시안정기금을 투입할 거란 소식이 석유 수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