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와 지자체가 버스나 지하철을 타면 요금을 지원해주는 다양한 카드를 출시합니다. 대중교통을 얼마나 타는지, 또 주로 어디로 다니는지에 따라 유리한 카드가 다르기 때문에 잘 비교해보셔야겠습니다.
제희원 기자입니다.
<기자>
매일 버스와 지하철 타는 사람에게 훌쩍 오른 교통비는 피부로 와닿는 부담입니다.
[이연주/서울시민 : 한 달에 들어가는 돈이 많아져서 부담이 좀 많이 돼요. 절약하려고 자전거 이용하기도 하고 걸어 다니기도 해요.]
우선 이달 27일부터 시행되는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 2천 원을 내면 서울 시내 모든 대중교통 수단을 무제한 탈 수 있는 통합정기권으로, 한 달 40회 이상 타거나 환승이 많은 생활권이 서울에 집중된 사람에게 유리합니다.
다만 광역버스, 신분당선, 수도권 GTX는 이용 불가입니다.
[서울시민 : 아무래도 자주 이용을 하니까 훨씬 도움이 되죠. 10만 원이 훨씬 넘는 비용인데 한 달에.]
청년이 버스비로 1천500원 쓰면 30%인 450원이 다음 달 환급되는 식입니다.
전국에서 이용할 수 있어서 장거리 출퇴근 승객에게 유리한데,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월 60회 제한이 있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고객은 회원 전환만 하면 됩니다.
더경기패스는 일종의 K-패스 확장판으로, 30% 환급 대상인 청년 기준을 넓히고 한도도 무제한으로 늘려, 경기도민이라면 K패스보다 '더경기패스'가 이득입니다.
국토부와 3개 지자체는 오늘(22일) 승객 혼선을 막고자 합동설명회까지 열었습니다.
교통 시스템이 서로 달라 통합에는 난색을 표했는데, 최적의 방안도 도출해보겠다 밝혔습니다.
제희원 기자 jess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정부와 지자체가 버스나 지하철을 타면 요금을 지원해주는 다양한 카드를 출시합니다. 대중교통을 얼마나 타는지, 또 주로 어디로 다니는지에 따라 유리한 카드가 다르기 때문에 잘 비교해보셔야겠습니다.
제희원 기자입니다.
<기자>
매일 버스와 지하철 타는 사람에게 훌쩍 오른 교통비는 피부로 와닿는 부담입니다.
[이연주/서울시민 : 한 달에 들어가는 돈이 많아져서 부담이 좀 많이 돼요. 절약하려고 자전거 이용하기도 하고 걸어 다니기도 해요.]
국토부와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가 일제히 교통비 절감책을 내놓은 배경입니다.
우선 이달 27일부터 시행되는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 2천 원을 내면 서울 시내 모든 대중교통 수단을 무제한 탈 수 있는 통합정기권으로, 한 달 40회 이상 타거나 환승이 많은 생활권이 서울에 집중된 사람에게 유리합니다.
다만 광역버스, 신분당선, 수도권 GTX는 이용 불가입니다.
[서울시민 : 아무래도 자주 이용을 하니까 훨씬 도움이 되죠. 10만 원이 훨씬 넘는 비용인데 한 달에.]
국토부가 도입하는 K-패스는 5월부터 시행되는데, 쓴 교통비 일부를 다음 달 돌려받는 카드입니다.
청년이 버스비로 1천500원 쓰면 30%인 450원이 다음 달 환급되는 식입니다.
전국에서 이용할 수 있어서 장거리 출퇴근 승객에게 유리한데,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월 60회 제한이 있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고객은 회원 전환만 하면 됩니다.
[경기도민 : 저도 출퇴근을 하기 때문에 6~7만 원이 나오는데 알뜰교통카드로 한 달에 지금 한 1만 원 정도 들어오거든요. 조금 지켜봐야지….]
더경기패스는 일종의 K-패스 확장판으로, 30% 환급 대상인 청년 기준을 넓히고 한도도 무제한으로 늘려, 경기도민이라면 K패스보다 '더경기패스'가 이득입니다.
국토부와 3개 지자체는 오늘(22일) 승객 혼선을 막고자 합동설명회까지 열었습니다.
교통 시스템이 서로 달라 통합에는 난색을 표했는데, 최적의 방안도 도출해보겠다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김원배, 영상편집 : 최은진, 디자인 : 조수인)
제희원 기자 jess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