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34년 만의 최고’ 日 증시 더 오를 것”…유망주는 이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닛케이225지수 연초 대비 8.34% 상승

“정책·美 IT기업 동조화·BOJ가 강세 견인”

“반도체·소재·기계, 배당주, 금융주 주목”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새해 들어 한국 증시가 약세를 보이는 데 반해 일본 주식시장엔 훈풍이 불고 있다. 비과세 제도를 강화해 장기 투자를 위한 자금이 유입된 데다 미국 IT 기업과의 동조화 기조가 반영되면서다. 노토반도 지진 등으로 일본은행(BOJ)의 금융완화 정책 수정 가능성이 줄어든 점도 한몫했다는 평가다.

20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 19일 닛케이225(Nikkei225)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97.10(1.40%) 오른 3만5963.27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 1990년 2월 이후 33년 11개월 만에 최고가로 연초 대비 8.34% 상승한 수준이다. 앞서 닛케이지수는 지난 17일 한때 3만6239.22까지 오르면서 3만6000선을 웃돌기도 했다. 닛케이지수 최고 기록은 일본 버블 정점 때인 1989년 말 3만8915다.

이데일리

지난 15일 일본 시민이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 전광판 앞을 지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닛케이지수가 연초 이 같은 강세를 보이는 데엔 △이달 초부터 적용된 신소액투자 비과세 제도(NISA) 정책 △미국 IT 기업과의 동조화 기조 △우에다 일본은행 총재의 발언과 연이은 지진으로 금융정책 정상화 속도 조절 기대감이 커진 점 등이 영향을 끼쳤으리란 분석이 나온다.

최보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은 올해 금융정책 정상화 부담이 이어지겠으나 기시다 내각 차원에서 ‘저축에서 투자로’ 정책을 기반으로 금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친기업 정책이 연이어 공개되고 있다”며 “일본은행 차원에서도 가파른 엔화 강세를 추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여러 번에 걸쳐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 연구원은 “올해 3~4월 일본 임금상승률 발표를 앞두고 정책 불확실성이 투자심리를 재차 위축할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일본 내각과 일본은행이 금융정책 정상화 부담을 상쇄하기 위한 정책을 연이어 발표하는 점이 올해 일본 지수 상승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또 일본은 환율 이외에도 공급망 재편과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도 발표하고 있다. 일본 주요 지수 중 닛케이지수는 반도체·장비·소재 기업 등 글로벌 IT 기업의 수요 증가로 실적이 개선되는 업체 비중이 크다. 올해 미국 IT 기업의 상승이 닛케이지수의 상승 동력이 되라는 게 최 연구원의 분석이다.

최 연구원은 닛케이지수의 상승세가 1월 후반~2월 둔화하리라고 예상하면서 3~4월에도 일본은행 회의를 앞두고 금융정책 정상화 필요성이 두드러지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일본은행의 포워드 가이던스 수정 시기도 봄이 될 가능성이 크게 평가되고 있는 만큼 일본은행 회의를 앞두고 일본 환율과 국채금리 등락이 커질 수밖에 없으리라고 봤다.

이데일리

(그래프=한국투자증권)


다만, 최 연구원은 일본 닛케이지수가 올해 추가 상승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그 이유를 “일본은행 정책 위원회가 엔-달러 환율이 가파르게 하락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는 데다 금융정책 정상화를 앞두고 친기업, 증시 부양을 위한 정책 도입이 연이어 공개되고 있다”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진행되며 일본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지원금이 지급되고 있고, 미국 IT 기업과의 동조화 기조도 강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 연구원은 앞으로의 투자 전략에 대해선 “상반기엔 신 NISA 정책 도입과 함께 주목받는 배당주가 재평가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대표적 기업으로는 대형은행·통신·상사 등이 있고 미국 IT 기업과의 동조화 기조가 이어질 업체론 반도체·소재·장비 기업이 있다”며 “엔-달러 환율이 하락하는 시기엔 은행·식품·내수주가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