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총선 이모저모

정우택 "충청 민심이 수도권 승리 열쇠…이기는 공천해야"[총선人]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우택 국회부의장 인터뷰

‘표심 풍향계’ 충북 출신 與 최다선 의원

“충청권 바람이 수도권 선거에도 영향"

광역철도 건설·청주공항활성화 등 약속

[이데일리 김기덕 경계영 기자] 충청권 민심은 역대 선거에서 표심 풍향계로 작용해 왔다.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충북 1위를 차지한 인물이 대통령에 당선된다’는 공식은 단 한 차례도 어긋난 적이 없을 정도다. 보수정당에서 ‘제2의 정권 재창출’을 위해 사활을 걸고 있는 4·10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충청권에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지역에서 국회의원 5선을 비롯해 충북지사, 장관직 등을 모두 역임하며 ‘정치 9단’으로 불리는 정우택 국회부의장이 바라본 총선 민심은 어떨까.

정 부의장은 최근 이데일리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충청권 유권자들의 특징은 고정적인 지지 정당이나 세력이 없다는 점인데 아직 우리 당이 기대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해 판세가 썩 녹록지 않다”며 “이번 총선에서 충청권을 석권할 수 있는 철저한 준비와 공천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정우택 국회부의장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사진=노진환 이데일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최다선 의원인 정 부의장은 제15대 국회에 입성해 제21대 국회 현재까지 현역 의원으로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2022년 3·9 대통령선거 당시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충북 청주시 상당구에서 당선됐다. 그는 과거 당이 최대 위기에 봉착했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에서 원내대표, 당대표 직무대행을 역임하는 등 현재 집권여당의 초석을 다진 인물이기도 하다.

정 부의장은 “선거 때마다 충청권에서 부는 바람이 수도권으로 옮겨붙는다. (수도권이 절대 열세인 상황을 감안하면) 이번 총선은 특히 충청도가 가장 중요할 수 있다”며 “당선 가능성이 높은 인물을 배치하고, 당 지도부나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사천(私薦)이 아닌 국민 눈높이에 맞는 후보를 공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해 국민의힘에 입당한 5선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구을)의 역할론에 대해선 “충청권 인접 지역인 대전은 지난 21대 총선에서 총 7석을 민주당이 모두 차지할 정도로 열세”라며 “이번 선거에서 이상민 의원을 거점 인물로 내세워 적어도 우리 당에서 과반을 차지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앞서 대통령실 출신인 강승규 전 시민사회수석(충남 예산·홍성군), 서승우 전 자치행정비서관(충북 청주시청원구), 이동석 전 행정관(충북 충주시) 등이 줄줄이 충청권 총선 출마를 예고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정 부의장은 “개개인으로 보면 모두 흠잡을 데가 없는 능력 있는 인물이지만 지역구에서 인지도를 올려야 하는 것이 최대 과제”라며 “신선한 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역동성을 갖춘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당내에서 최대 화두로 꼽히는 중진들의 험지 출마나 불출마 요구와 관련해선 “세대 교체가 아닌 세대 조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부의장은 이어 “선거구도나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한 선거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충북 청주의 경우 4개 지역구 중 3곳은 지난 20년 동안 국민의힘 출신이 나오지 못했다. 이번엔 지역에서 오랜 시간 동안 주민들과 스킨십을 해 온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재정자립도가 가장 낮은 충북도와 청주시의 숙원 사업을 위해 해결사를 자처하고 나섰다. 정 부의장은 “청주 도심을 통과하는 충청권 광역철도 개발과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동남지구 택지개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비 확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충북 홀대론이 재차 부상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정우택 국회부의장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사진=노진환 이데일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