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경기도, 겨울철 ASF 방역관리 강화…멧돼지 기피제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정부=연합뉴스) 우영식 기자 = 경기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위험이 높은 겨울철을 맞아 재발 방지를 위한 방역관리를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연합뉴스

ASF 방역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겨울은 ASF 바이러스 전파 매개체인 야생 멧돼지가 먹이 부족으로 도시나 양돈농장 인근에 출몰이 잦은 시기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 1∼4월 포천과 김포 멧돼지 출몰지역 인근 양돈농장에서 6건의 ASF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도는 과거 발생지인 접경지역 농장들과 멧돼지 출몰이 잦은 야산 인근지역 양돈농장 등에 차단 방역을 지도하고 있다.

또 농장 방역시설 운영과 정비 관리 점검, 출하 전 예찰·검사와 도축 전 임상 검사 등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는 10억원을 신규 투입해 야생 멧돼지 접근을 막을 수 있는 기피제 살포 등을 농가에 지원할 방침이다.

최경묵 경기도 동물방역위생과장은 "전국적으로 야생 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되고 검출 지역도 확산하고 있다"며 "언제든지 ASF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오염원 유입 방지를 위한 기본 방역 수칙 준수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ASF는 2019년 양돈농장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뒤 경기, 인천, 강원지역 14개 시군에서 38건이 발생했다. 야생 멧돼지는 지난 12일 기준 전국 41개 시군에서 3천511건이 발생했다.

지난해 말부터 경기도에 인접한 충북 충주, 제천지역 야생 멧돼지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고 있어 경기지역 농장 전파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wyshi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