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재건축 제한을 포함해 부동산 시장의 규제를 확 풀기로 하면서 주택 공급난을 해소할 수 있을 거란 기대가 나옵니다. 반면, 혜택이 돌아가야 할 실제 거주자가 아닌, 건축업자나 다주택자들이 이득을 볼 거란 비판도 있습니다.
제희원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서울의 오피스텔 입주량은 3천7백여 실.
지난해보다 72% 급감했는데 13년 만의 최저 수준입니다.
그런데 주택수 산정 제외 대상이 '향후 2년간', '신축' 으로 한정되자 실망감을 드러냈습니다.
[강희창/전국비아파트총연맹 회장 : 우리같이 기존의 시장에 발이 묶여 있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제대로 된 공급과 수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인지….]
재건축 사업엔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다만 용적률 상향, 개발부담금 완화에 이어 안전진단까지 사실상 없어져 무분별한 사업 추진, 이로 인해 개발이익이 소수에 집중될 거란 우려도 제기됐습니다.
위축됐던 소형 주택 공급엔 숨통이 트일 수 있습니다.
[서진형/경인여자대학교 교수 : 주택 수에서 제외하게 되면 비아파트 공급을 확대하고 건설업을 활성화시키는 데는 상당히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가 된다.]
[서원석/중앙대 도시계획학과 교수 : 고육지책일 수밖에 없는데요. 주택시장이 어느 정도 안정이 될 때 (아파트) 대체재로서의 역할이 가능한데 반등을 이끌어내기에는 단기적으로 조금 어렵지 않을까.]
[최은영/한국도시연구소장 : 비아파트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정책도 같이 마련됐어야 하는 거죠.]
또 다주택자 중과 철폐가 실제 세입자의 부담 감소로 이어지는지 추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제희원 기자 jess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정부가 재건축 제한을 포함해 부동산 시장의 규제를 확 풀기로 하면서 주택 공급난을 해소할 수 있을 거란 기대가 나옵니다. 반면, 혜택이 돌아가야 할 실제 거주자가 아닌, 건축업자나 다주택자들이 이득을 볼 거란 비판도 있습니다.
제희원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서울의 오피스텔 입주량은 3천7백여 실.
지난해보다 72% 급감했는데 13년 만의 최저 수준입니다.
거래도 실종되면서 소유주들은 세부담 완화를 줄기차게 요구해 왔습니다.
그런데 주택수 산정 제외 대상이 '향후 2년간', '신축' 으로 한정되자 실망감을 드러냈습니다.
[강희창/전국비아파트총연맹 회장 : 우리같이 기존의 시장에 발이 묶여 있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제대로 된 공급과 수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인지….]
재건축 사업엔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재건축 조합 관계자 : 하나의 장막이 없어지는 거잖아요. 안전진단 비용 주민한테 걷고 '융자받아서 해라, 뭐 해라' 그게 없어지는 거잖아요.]
다만 용적률 상향, 개발부담금 완화에 이어 안전진단까지 사실상 없어져 무분별한 사업 추진, 이로 인해 개발이익이 소수에 집중될 거란 우려도 제기됐습니다.
위축됐던 소형 주택 공급엔 숨통이 트일 수 있습니다.
[서진형/경인여자대학교 교수 : 주택 수에서 제외하게 되면 비아파트 공급을 확대하고 건설업을 활성화시키는 데는 상당히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가 된다.]
경기가 워낙 얼어붙어 단기적 반등 효과는 제한적일 전망입니다.
[서원석/중앙대 도시계획학과 교수 : 고육지책일 수밖에 없는데요. 주택시장이 어느 정도 안정이 될 때 (아파트) 대체재로서의 역할이 가능한데 반등을 이끌어내기에는 단기적으로 조금 어렵지 않을까.]
[최은영/한국도시연구소장 : 비아파트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정책도 같이 마련됐어야 하는 거죠.]
또 다주택자 중과 철폐가 실제 세입자의 부담 감소로 이어지는지 추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김균종·장운석, 영상편집 : 박기덕)
제희원 기자 jess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