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률 '최고'…보건복지·고령층 늘고 청년층·제조업은 줄어
작년 12월 취업자 28만5천명↑…실업률, 33개월 만에 상승
[연합뉴스 자료사진] |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송정은 박원희 기자 = 지난해 취업자 수가 33만명가량 늘었다. 80만명 넘게 급증했던 2022년보다는 증가세가 크게 둔화했다.
여성과 고령층, 보건·복지 서비스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지만, 제조업과 청년층에서는 감소했다.
정부는 올해 건설경기 부진 등이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취업자 증가 폭이 작년보다 적은 20만명대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 보건·복지 호조…제조업·건설업은 '마이너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천841만6천명으로 전년보다 32만7천명(1.2%) 늘었다.
앞서 정부는 '2023년 경제정책방향'에서 기저효과 등으로 취업자 수가 10만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실제 흐름은 이보다 호조를 보인 셈이다.
연간 취업자 수는 2019년 30만1천명 늘었다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21만8천명 감소한 뒤 이듬해 36만9천명 증가세로 전환했다.
2022년에는 81만6천명 늘어 2000년(88만2천명) 이후 22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래픽] 취업자 증감 추이 |
산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 수가 지난해 4만3천명 줄었다. 2022년 13만5천명 늘어난 뒤 1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감소 폭은 2020년(-5만3천명) 이후로 가장 컸다. 작년 수출 감소,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화학·전자제품 분야의 취업자가 줄었다.
도소매업에서도 3만7천명 줄었다. 온라인 거래 등이 많아지면서 2018년부터 6년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업(-1만8천명), 건설업(-9천명) 등도 줄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는 14만3천명 늘었다. 돌봄 수요의 증가와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대면 활동이 늘면서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도 11만4천명 증가했다. 정보통신업에서도 5만7천명 늘었다.
통계청 서운주 사회통계국장은 "돌봄 수요의 증가와 일상 회복에 따른 외부 활동 증가 등으로 취업자 증가세가 3년 연속 계속됐다"고 말했다.
◇ 여성·고령층 증가세 주도…청년층은 줄어
성별로는 여성 취업자 수가 30만3천명 늘어 전체 취업자 증가 폭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늘고 여성이 많이 종사하는 보건 복지 서비스업 등이 호조를 보인 결과다.
남성 취업자 수는 2만4천명 늘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36만6천명 늘었다.
반면 청년층(15∼29세)에서는 9만8천명 감소했다. 통계청은 청년 인구의 감소와 기저효과 등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46.5%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40대에서도 취업자 수가 5만4천명 줄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6%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올랐다. 1963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인 15∼64세 고용률도 0.7%포인트 상승한 69.2%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지난해 실업자 수는 78만7천명으로 4만6천명 줄었다. 실업률은 0.2%포인트 하락한 2.7%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20만4천명으로 13만4천명 감소했다.
이중 '쉬었음'이 7만4천명 늘었다. 60세 이상(5만9천명), 30대(1만3천명), 청년층(1만1천명) 등에서 '쉬었음'이 늘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 작년 12월 취업자 28만5천명↑…실업률, 33개월 만에 상승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809만3천명으로 28만5천명 늘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작년 7월 21만1천명에서 10월에 34만6천명까지 확대된 뒤, 11월에 27만7천명으로 줄었으나 한 달 만에 반등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 수가 1만명 늘어 2022년 12월(8만6천명) 이후 1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실업자는 94만4천명으로 7만8천명 늘었다. 실업률은 3.3%로 0.3%포인트 올랐다. 2021년 3월 이후 33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정부는 기저효과와 함께 12월 공공 일자리 사업 개시와 채용 등으로 구직활동이 늘면서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한 영향으로 설명했다.
[그래픽] 산업별 취업자 증감 |
◇ 정부 "올해 취업자 증가 폭 둔화…건설경기 부진, 제약요인"
정부는 지난해 취업자 수가 안정적인 일자리인 상용직 근로자(47만8천명 증가)를 중심으로 늘었다면서 고용의 질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올해의 경우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취업자 증가 폭이 지난해보다 둔화한 23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건설경기 부진이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정부는 이를 장기적인 추세로 복귀하는 과정으로 풀이했다.
고용률은 0.2%포인트 높아진 62.8%로 지난해보다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encounter24@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