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 정수장 가동 멈춰도 수돗물 정상 공급
관망 교체·시설 공사해도 수계전환 불필요
우여곡절 끝에 올 10월 첫 삽
인천 공촌정수장 모습. 인천시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6년 전 '붉은 수돗물' 사태를 겪은 인천시가 전국 최초로 '거점 배수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는 수돗물 공급체계의 큰 전환으로 붉은 수돗물 사태 재발 방지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거점 배수지는 각 정수장에서 생산한 수돗물을 모았다가 지역 배수지를 통해 수용가(소비자)로 공급하는 대형 배수지로(①정수장→②거점 배수지→③지역 배수지→④소비자) 여러 개의 정수장에서 수돗물을 받는다. 반면 현행 수돗물 공급 체계는 수돗물이 정수장에서 지역 배수지를 거쳐 곧바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방식(①정수장→②지역 배수지→③소비자)이다.
현재는 노후 수도 관망을 교체하거나 시설 정비·공사 시 정수장의 시설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 시설이 멈추면 단수를 하거나 수돗물 공급 경로를 바꾸는 수계(水系) 전환을 통해 다른 곳에서 수돗물을 끌어와야 한다. 정수장이 어디인지에 따라서 수량과 수압 등에 차이가 나기도 한다. 수계 전환과정에서 녹물이 나오거나 고지대에 물이 끊기기도 한다. 인천지역에서는 수도 관망과 취·정수 시설 노후화로 시설 개선 사업이 일상적으로 이뤄지고 수계 전환이 잦다.
인천시는 그 해법으로 붉은 수돗물 사태 발생 2년 만인 2021년 6월 거점 배수지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2029년까지 원적산·관모산·천마산 등 고지대 3곳에 거점 배수지를 만드는 내용이다. 거점 배수지는 부평·남동·공촌·수산 등 4개 시내 정수장과 모두 연결돼 있어 1개 정수장 가동이 멈춰도 전체 수돗물 공급에는 지장이 없다. 수계 전환 없이 시설 공사 등이 가능한 데다 정수장 간 수돗물 생산·공급량 불균형 해소도 기대됐다.
그러나 환경부가 2022년 6월 전례가 없는 거점 배수지 조성 사업에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며 단계별 추진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제동이 걸렸다. 원적산에 5만 톤 규모 거점 배수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우선 추진하고 그 성과를 분석해 나머지 거점 배수지 조성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게 환경부 판단이었다. 거점 배수지 사업은 국비 지원 없이 인천시 예산으로만 추진하지만 환경부가 수도 정비 계획 승인 권한을 가지고 있어 인천시도 단계별 추진으로 최근 입장을 바꾸었다.
인천시는 이에 1단계와 2단계로 나눠 2030년까지 원적산 거점 배수지를 우선 조성하기로 했다. 1단계 사업은 공촌~부평정수장 2.7㎞ 구간에 1,500㎜, 남동~수산정수장 2.3㎞ 구간에 2,000㎜ 비상 연계 관로를 묻는 것으로 현재 설계가 진행 중이다. 총사업비는 700억 원 규모다. 2단계는 원적산에 부평과 남동정수장을 연결하는 5만 톤 규모 거점 배수지와 함께 총 19.4㎞ 구간에 1,500~2,000㎜ 관로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3,600억 원이 투입된다. 비록 사업을 한 번에 추진하지는 못하지만 올해 10월 중 사업의 첫 삽을 뜬다. 환경부의 제동과 지방선거 등의 영향으로 사업이 다소 변경, 지체됐지만 전국 첫 사업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2단계 사업 완료 후 성과를 분석해 타당하면 3단계로 관모산(남동~수산정수장·3만2,000톤 규모)과 천마산(부평~공촌·2만1,000톤) 거점 배수지 조성에 즉각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 거점 배수지 예정지 위치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환직 기자 slamhj@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