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불필요했다' 시사에 당 일각서도 "노예제가 협상가능했냐" 비판
![]() |
유세하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미국 공화당 대선 주자인 니키 헤일리 전 유엔 대사가 남북전쟁을 언급하면서 노예제 문제를 거론하지 않아 비판받은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남북 전쟁 자체를 협상으로 피할 수 있었다고 발언해 구설에 올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6일(현지시간) 아이오와주 선거 유세에서 남북전쟁과 관련, "많은 실수가 있었다"면서 "솔직히 협상될 수 있는 것도 있었고, 협상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CNN, 워싱턴포스트(WP) 등이 7일 보도했다.
이어 남북전쟁을 악랄하다고 묘사한 뒤 "너무 많은 사람이 죽었고 그것은 재앙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만약 협상이 됐다면 에이브러햄 링컨이 누군지 당신은 모르겠지만, 그것은 괜찮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런 발언은 노예제 종식을 위한 전쟁이 불필요했으며 링컨 당시 대통령이 유혈 상황을 피하기 위해 더 노력했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미국 언론은 분석했다.
이에 대해서는 공화당 내에서도 비판 발언이 나왔다.
반(反)트럼프 인사인 공화당 리즈 체니 전 연방 하원의원은 "남북 전쟁 중 어떤 부분이 협상할 수 있었느냐. 노예제냐, (남부 주의) 연방 탈퇴냐"라고 반문했다.
역사학자들도 노예제도를 둘러싼 남북전쟁을 중단하기 위해 협상을 할 수 있었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미국역사협회의 제임스 그로스먼 이사는 WP에 "(남부의) 연방 탈퇴 선언문에는 그(노예)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연방을 떠난다고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으며 이것은 협상될 수 없었다"고 반박했다.
데이비드 블라이트 예일대 역사학과 교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초등학교 수준의 난센스이자 역사적으로 무지한 발언"이라고 말했다.
이런 비판에 대해 트럼프 캠프의 스티븐 청 대변인은 "이들 역사학자는 이른바 '트럼프 발작 증후군'에 시달리는 진보적인 민주당의 기부자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앞서 헤일리 전 대사는 지난달 유세에서 남북전쟁의 원인과 관련, "기본적으로 정부가 어떻게 운영되느냐의 문제였다"라면서 노예제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비판이 제기되자 그녀는 노예제 문제는 기정사실이었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solec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