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연금과 보험

보험 통계상 평균수명, 남자 86.3세···여성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남녀 각각 2.8세·2.2세 늘어

경향신문

지난달 13일 서울 마포구청에서 열린 2023 마포구 노인 일자리 박람회장이 일자리를 구하려는 노인들로 북적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명보험 통계상 남녀의 평균수명이 각 2.8세, 2.2세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평균수명이 90세를 넘었고, 남녀 간의 평균수명 차이는 5년 전보다 좁혀졌다.

보험개발원은 7일 생명보험 가입자 통계를 이용해 제10회 경험생명표 개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경험생명표는 생명보험 가입자의 사망 현상을 관찰해 5년마다 작성하는 성별·나이별 사망률 표다. 통계청의 국민생명표와 함께 사망 현상에 대한 국가지표로 활용된다.

개정 경험생명표를 보면 평균수명은 남자 86.3세, 여자 90.7세로 5년 전 작성된 제9회 경험생명표보다 각각 2.8세, 2.2세 늘었다. 보험개발원은 “의료기술이 발달하고 생활 수준이 향상한 영향 등으로 사망률이 개선됨에 따라 평균수명도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경향신문

보험개발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험생명표의 평균수명은 통계청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작성하는 국민생명표(2022년 기준 남자 79.9세, 여자 85.6세)보다 많다. 이는 보험회사가 보험 가입을 승낙할 때 건강진단이나 과거 병력 고지 등을 참고함에 따라 생명보험 가입자의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더 양호하기 때문이다.

5년 전과 비교하면 남녀의 평균수명 차이가 축소됐다. 5년 전 경험생명표의 평균수명은 남자 83.5세, 여자 88.5세로 5.0세 차이였다. 그러나 이번에 개정된 경험생명표에선 남녀 차이가 4.4세다. 이에 대해 보험개발원은 “고연령대 남자의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65세 기대여명은 남자 23.7년, 여자 27.1년으로 집계됐다. 5년 전보다 각 2.3년, 1.9년 증가했다.

경향신문

보험개발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험개발원은 “평균수명과 고령자의 기대여명이 늘어남에 따라 은퇴 이후의 의료비나 노후 소득 보장에 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보험상품도 경제 활동기부터 노후까지 장기적인 관점에서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개정된 경험생명표는 보험회사가 보험상품을 개발할 때 활용할 수 있으며, 보험소비자가 보험가격을 비교할 수 있도록 보험회사가 공시하는 보험가격지수 산출에도 사용될 예정이다.

최희진 기자 daisy@kyunghyang.com

▶ 플랫, ‘입주자 프로젝트’ <엄마 성 빛내기> 시작!!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