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AI 기기 및 서비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지난 9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전국민의 AI 일상화 실행계획'에 따르면 사회적 약자 돌봄과 배려를 위해 AI 기술 도입이 가속화화 될 전망이다. 독거노인·보호아동·장애인 뿐 아니라 각종 복지 사각지대의 어려움을 AI로 해소하려는 취지다. 이같은 정책은 AI 윤리를 기반으로 '인간을 위한 AI(AI for Human)'의 시작점이 될지 주목된다.
독거노인은 대표적인 복지 사각지대로 꼽힌다. 인구 고령화로 독거노인이 증가하면서 사회적 고립 뿐아니라 건강 관리 및 고독사 등 생명과 직결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다양한 AI 기기로 정서를 안정화하고 지속적인 관리 체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정부는 전국 보건소를 통해 AI 스피커와 스마트밴드·혈압계·혈당계 등 건강측정 기기를 활용, 건강 관리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지방자치단체(지자체)와 협력, 노인 우울증을 예방하고 인지 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AI 반려 로봇도 보급한다. 바른ICT연구소가 독거노인 대상 AI 스피커 효용성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은 7% 상승하고 고독감은 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을 위한 AI 기기 확산에도 나설 방침이다. 대화 상대방의 음성이나 주변 소리를 문자(자막)로 표시하는 스마트 글라스와 문자·음성 변환 등 AI 활용 보조기기가 대표적이다. 각종 장애 유형별 최적의 재활 운동을 가이드하는 운동·치료기기도 개발한다.
전국 보육원 299개소 아동·청소년 8000여명을 대상으로 AI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학습 역량과 문해력 향상, 심리 안정을 위한 AI 튜터·심리검사·콘텐츠를 개발·보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위기가구 관리에도 AI가 쓰인다. 위기가구는 저소득 등으로 생계 지원이 시급한 가정을 의미한다. 지난해 8월 발생한 수원 세모녀 사망사건이 대표적으로, 암과 난치병에 걸린 모녀가 극단적 선택을 했다. 복지 사각지대에 대한 지원이 보다 촘촘하고 명확하게 관리돼야한다는 사회 메시지를 던졌다.
보건복지부 중심으로 전국 공공요금 및 건강보험료 체납 등 위기 경보를 AI로 분석, 복지 위기 가구를 선별한다. 발굴된 복지 위기가구에는 AI로 복지 필요 확인과 지자체 등 안내·지원 체계를 수립할 예정이다. 복지 사각지대 인원에 대한 복지 수급 의향, 위기도, 복지 욕구 등 AI 초기 상담 서비스로 파악할 방침이다.
전국민 AI 일상화 실행계획 내 사회적 약자 배려·돌봄 사업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권동준 기자 djkw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