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연금과 보험

회장 선출 방식 놓고… 포스코-국민연금 ‘충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추천위 사외이사 7명 現회장 인물

국민연금 “공평하지 못해” 문제 제기

추천위 “회장 선출 방식 안 바꿀 것

최정우 3연임 지원 여부, 개인 자유”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포스코홀딩스의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이 회장 선출 방식에 문제를 제기했음에도 포스코홀딩스 ‘CEO후보추천위원회’(후추위)가 회장 선정 절차를 그대로 이어갈 것이라고 못을 박았다. 포스코 회장 선출을 놓고 국민연금과 포스코가 대립하면서 ‘KT 사태’의 전철을 밟게 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국민연금은 1일 기준 포스코홀딩스 지분 6.71%를 가지고 있다.

박희재 후추위원장(서울대 교수)은 29일 입장문을 내고 “후추위는 19일에 발표한 신지배구조 관련 규정에 정한 기준에 따라 독립적으로 투명하고 공정하게, 차기 회장 심사 절차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며 “만약 (최정우) 현 회장이 3연임을 위해 지원한다면 그건 개인의 자유”라고 밝혔다. 또 “후추위는 현 회장의 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오직 포스코의 미래 주주의 이익을 위해 어느 누구에게도 편향 없이 냉정하고 엄중하게 심사에 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이 이 같은 입장문을 낸 것은 전날 국민연금이 포스코 차기 회장 선정 절차의 공정성에 대한 문제 제기에 나섰기 때문이다.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소유분산 기업인 포스코홀딩스 대표 선임은 KT 사례 때 밝힌 바와 같이 주주 이익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내·외부인의 차별이 없는 공평한 기회가 부여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KT의 경우 국민연금의 공정성 지적을 받아들여 올 6월 사외이사를 대거 교체해 기존 CEO(당시 구현모 사장)의 입김을 배제했다. 그런 뒤 주주 및 외부기관 추천으로 후보를 공모해 현재 김영섭 사장을 선출했다.

반면 후추위는 포스코홀딩스 사외이사 7명으로 구성됐는데, 이들은 모두 최 회장의 재임 기간에 새로 선임됐거나 재선임된 인물들이다. 재계 관계자는 “국민연금은 현재의 구조가 최 회장의 입김이 많이 작용하도록 설계돼 객관적으로 후보자를 선출할 수 없다고 본 것”이라며 “사실상 최 회장의 3연임에 반대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후추위는 국민연금의 지적을 의식한 듯 29일 3차 회의를 마친 뒤 회장 후보 외부 추천 절차를 자세히 공개했다. 후추위는 이날 포스코홀딩스 지분을 0.5% 이상 보유한 주주를 대상으로 ‘회장 후보 주주 추천’을 받는다는 공문을 보냈다. 또 헤드헌터 회사 10개사를 선정해 회사별로 최대 3명의 후보를 추천받기로 했다.

국민연금과 후추위의 갈등 확전 여부는 내년 1월 중순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후추위는 이때 1차 후보군인 ‘롱리스트’를 20∼30명 규모로 추릴 예정이다. 최 회장이나 그 측근 위주로 명단이 꾸려진다면 국민연금 측에서 다시 의견을 낼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큰 진통을 겪었던 KT 대표 선출 때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포스코와 마찬가지로 소유분산기업으로 꼽히는 KT는 구현모 전 대표와 윤경림 전 KT그룹 트랜스포메이션부문장(사장)이 차례로 대표이사 후보로 지명됐지만, 최대주주인 국민연금 등이 반대하면서 낙마했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