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스님 참선 도운 '천년 구들'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 체계적 보존·활용

우리나라 온돌 문화 역사를 대변하는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이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관리된다. 문화재청은 체계적인 보존·활용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관리자 등과 협조할 계획이라고 22일 전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 반야봉 남쪽 자락 칠불사에 조성된 독특한 형태의 온돌방이다. 칠불사는 대한불교조계종 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末寺). 가락국 김수로왕의 일곱 왕자가 출가해 성불한 암자인 칠불암으로 잘 알려졌다.

경내에는 '아자방(亞字房)'으로 불리는 선방(禪房·참선하는 방)이 있다. 스님들이 벽을 향해 수행하도록 방 안 네 귀퉁이를 바닥 면보다 한 단 높게 구성했다. '亞’ 모양의 평면을 이룬 방 전체에는 구들이 놓였다. 신라 때 처음 만들어졌다고 전한다.

2017년 발굴한 고려 시대 유물(와편·기단석·확돌)과 여러 기록에 따르면 아자방 온돌은 선종사찰(禪宗寺刹)의 선방으로 기능했다. 실체는 옛 선비들이 지리산을 여행하고 남긴 유람록과 일제강점기 신문 기사 등에서 확인된다. 모서리의 높은 단에서 좌선하고, 중앙의 낮은 단에서 불경을 읽었으리라 추정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온돌은 약 1000년 동안 한 번도 수리된 적이 없다고 알려졌다. 한번 불을 넣으면 온돌과 벽면에 한 달간 온기가 남는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우리나라 전통 온돌 문화와 선종사찰의 선방이 결합한 독특한 문화유산"이라며 "불교사, 건축사 등에서 학술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고, 현존하는 사례 가운데 희소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