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터널 공사하다 찾은 석회암 동굴, 천연기념물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월 분덕재동굴' 곡석·종유관 등 넓게 분포

가는 실처럼 이리저리 뻗은 곡석 처음 확인

군도 9호선 분덕재터널 개설공사 과정에서 발견된 동굴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다. 국내에서 네 번째로 긴 석회암 동굴인 '영월 분덕재동굴'이다. 문화재청은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고 21일 전했다. 지정되면 동굴이 가치는 가치 등이 담긴 각종 학술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보존관리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월 분덕재동굴은 2020년 영월읍과 북면 경계에서 분덕재터널을 공사하다 발견된 천연동굴이다. 바로 보호 조치가 내려져 보존상태가 매우 우수하다. 기초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길이는 1810m다. 곡석, 석화, 종유관 등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넓게 분포해 있다.

곡석은 대체로 가는 실처럼 이리저리 뻗어 있다. ‘ㄱ’, ‘ㄴ’, ‘계단’ 등 다양한 모양으로도 확인된다. 문화재청 측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형태"라고 설명했다. 종유관은 빨대 모양이다. 천장에서 떨어진 물방울로 만들어졌는데 길이가 3m에 달한다. 석순도 곳곳에 널려있다. 하나같이 물방울 속 석회질 물질이 바닥에서 위로 자라나며 생성됐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월 분덕재동굴은 이 밖에도 석주(돌기둥), 종유석 등 동굴생성물과 용식공(동굴 내부로 스며든 지하수의 용식작용으로 형성된 종 모양 구멍), 포트홀(강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자갈들이 강바닥의 오목한 부분에서 회전하면서 암반을 깎아 생긴 구멍), 건열(불규칙한 다각형 모양의 퇴적 구조) 등 규모가 작고 미세한 기복을 가진 지형이 분포해 학술·교육 가치가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이곳은 마차리 층에서 발견된 동굴 가운데 최대 규모이기도 하다. 마차리 층은 석회암과 흑색 이암(점토 퇴적암)이 번갈아 쌓여 만들어진 고생대 전기 지층. 고생대 화석이 자주 발견된다. 문화재청 측은 "침식과 용해작용으로 요철이 심한 동굴 통로 벽면이 마차리 층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부연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