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한·중 외교국장급 협의···중국은 대만·남중국해 입장 재차 밝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용준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사장

19일 중국 광둥성 선전에서 한·중 국장급 협의

경향신문

최용준 외교부 동북아국장 류진쑹(劉勁?) 중국 외교부 아주사 사장(국장)과 19일 중국 광둥성 선전에서 만나 한·중 국장급 협의를 했다.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중 외교당국이 19일 국장급 협의를 하고 양국 관계와 한반도 문제를 논의했다. 한국 측에서는 상호존중에 기반한 양국 관계 발전을, 중국 측에서는 대만 문제에 대한 입장을 각각 강조하는 등 입장차도 드러냈다.

20일 외교부에 따르면 최용준 외교부 동북아국장은 류진쑹(劉勁鬆) 중국 외교부 아주사 사장(국장)과 전날 중국 광둥성 선전에서 만나 한·중 국장급 협의를 했다.

양측은 올 한해 한·중관계 현황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양자관계와 한반도 문제 등 상호 관심 사안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했다. 최 국장은 상호 존중에 기반한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관계 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또 양측이 앞으로 다방면에서 교류와 소통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정부는 전임 문재인 정부의 대중 외교가 저자세 외교였다고 보고 상호 존중을 한·중관계 기본 원칙으로 내세워왔는데 이를 재차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중국 측은 대만과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자국의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류 사장은 대만과 남중국해 문제 등 중국의 핵심적이고 중대한 관심사에 대해 재차 중국의 엄정한 입장을 표명했고 한반도 문제와 관련한 중국의 정책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한국 측 발표 자료에는 대만·남중국해 관련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중국이 민감하게 생각하는 대만과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반복적으로 밝힌 데 대한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리시 수낵 영국 총리와 함께 발표한 ‘다우닝가 합의’에서도 대만과 동·남중국해 현상 변경 시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은 북한 핵·미사일 문제에 중국이 건설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한국 정부의 요구에 “당사국 모두가 냉정과 자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이날도 이같은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이 대만·남중국해 문제를 핵심 이익으로 규정하고 있는 만큼 향후 한·중관계에서도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외교사령탑인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은 북한이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을 발사한 지난 18일 베이징을 방문한 박명호 북한 외무성 부상을 접견했다.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ICBM 도발에도 왕 위원이 박 부상과 만나 양국 간 신뢰와 지지를 강조한 것은 중국이 북한 도발을 사실상 용인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한국이 의장국으로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중·일 정상회의도 중국 측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지난달 26일 부산에서 한·중·일 정상회의 준비를 위한 3국 외교장관 회의가 열렸지만 왕이 위원의 일정 등을 이유로 공동기자회견이나 성명없이 마무리 됐다. 의장국인 한국이 연내 개최를 목표로 추진하던 3국 정상회의 일정도 내년 상반기로 미뤄졌다.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