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홍해 지정학 리스크, 고유가보다 고운임이 문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신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홍해를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하는 가운데, 고유가보다 고운임비의 고착화가 우려스럽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최진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유가의 상방 변동성은 발생할 수 있지만 이번 같은 지정학 리스크는 오히려 높아질 운임비의 고착화로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18일 영국 최대 석유회사인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은 바브엘만데브 해협을 통한 에너지 수송을 잠정 중단할 것이라

전했다. 지난 10월 31일 예멘 후티 반군의 대이스라엘 선전포고 이후 홍해상에서 외국적 상선을 대상으로 한 공격이 빈번해지자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이다.

바브엘만데브 해협은 수에즈 운하로 향하는 홍해와 아덴만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인근으로는 예멘과 에리트레아, 지부티, 소말리아 등 국가가 인접해 있다. 폭은 32km로 호르무즈 해협보다 비좁으며, 해당 해협을 통한 석유 및 액화천연가스(LNG) 물동량은 전세계 해상 운송 중 각각 9.1%와 8.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운송로이다.

미국 등 10개국은 해상 운송로의 안전을 확보하겠다는 목적으로 다국적 기동함대를 투입하겠다고 발표했고 일각에서는 바브엘만데브 해협에서의 군사 충돌이 과거 이란-아라크 전쟁(1980~1988년) 당시 발생한 호르무즈 해협 봉쇄처럼 에너지 공급 차질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박 연구원은 “바브엘만데브 해협 봉쇄를 과거 호르무즈 해협 봉쇄 사례와 비교하는 것은 다소 과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페르시아만과 오만만을 연결하는 호르무즈 해협은 전세계 석유 및 LNG 해상 물동량의 21%를 차지하지만 호르무즈 해협 봉쇄 시 우회할 수 있는 파이프 라인 유휴 생산능력(Capa)는 하루당 390만 배럴(b/d)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는 “바브엘만데브 해협은 수송기간은 다소 길어지지만 희망봉을 통해 전량 우회가 가능하다”며 “특히, 과거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듯 조달 루트의 변화는 에너지 공급차질 또는 고유가가 아닌 높은 운임비의 고착화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2022년 러시아산 에너지의 조달 루트 변화이다. 서방세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을 이유로 러시아산 에너지에 대한 금수 조치에 나섰다. 당시 시장에서는 글로벌 석유 공급의15%가 타격 받을 것을 우려했다. 그러나 급등했던 유가는 이후 경기 둔화와 맞물리며 진정된 바 있다.

박 연구원은 “바브엘만데브 해협의 봉쇄는 분명 위협적”이라면서도 “조달 루트의 변화는 결코 공급차질 또는 고유가를 유발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운임비 고착화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