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연금과 보험

상생 압박에…실손·車보험료 부담 줄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9년 이후 연간 최대 14%까지 오르던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 보험료가 내년에는 평균 1.5% 인상에 그친다. 자동차보험료도 내년 2.5~3.0% 인하가 예상돼 올해보다 인하폭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보험 업계가 실손보험료 인상폭을 예상보다 크게 낮추고 자동차보험료 인하폭을 작년보다 확대하기로 한 배경에는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압박이 있다. 손해율 (수입보험료에서 지급보험금 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예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영향이 있지만, 상생금융 영향이 더 컸다는 평가가 나온다.

18일 생명·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1세대 실손보험(2009년 9월까지 판매) 보험료는 내년에 평균 4% 내려가고 2세대(2009년 10월~2017년 3월 판매)는 1% 올라간다. 올해 1세대 보험료는 6%대, 2세대는 9%대 상승했다.

다만 올해 14% 올랐던 3세대(2017년 4월부터 2021년 6월까지 판매) 실손보험료는 손해율이 작년 131.7%에서 올해 3분기 말에 154.9%로 급등한 탓에 내년엔 18% 인상된다. 보험료율 조정 기간이 아직 도래하지 않은 4세대는 동결됐다.

이에 따라 1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는 평균 연 3만576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는 반면, 2세대와 3세대 가입자 부담은 각각 5868원, 3만5556원 늘어난다.

전체 실손보험에는 지난해 말 기준 3997만명이 가입돼 있다. 2세대에 1910만명(47.8%)이 가입돼 전체 가입자 중에서 비중이 가장 크고, 1세대와 3세대에도 각각 819만명(20.5%), 955만명(23.9%)이 가입돼 있다. 2021년 7월 출시된 4세대는 가입자가 232만명(5.8%) 정도다. 전체 가입자 중 1774만명(1·2세대 비중 합계)은 올해보다 보험료가 인하되거나 인상폭이 줄어들고, 955만명(3세대)은 지난해보다 보험료 인상폭이 커질 전망이다.

보험 업계 관계자는 "가입 상품의 갱신 주기와 종류, 연령, 성별, 보험회사별 손해율 상황 등에 따라 개별 가입자에게 적용되는 인상률은 상이할 수 있다"며 "본인이 가입한 보험료 인상 수준은 개별 보험 계약이 실제 갱신되는 시기에 각 보험회사의 안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자동차보험 인하폭은 올해보다 커진다. 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 등 자동차보험 대형 4개사는 내년에 자동차보험료를 2.5% 인하할 예정이다. 또 메리츠화재 등 일부 중소형사는 3%까지 낮출 예정이다. 차보험료 평균 금액이 72만원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계약당 1만7000~2만1000원의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사들이 실손보험 인상을 자제하고 차보험의 인하폭을 늘린 것은 손해율 안정 효과도 없지 않지만 상생금융 영향이 크다.

금융당국은 지난달부터 은행뿐 아니라 보험 업계에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상생 방안 마련'을 주문해왔다. 이달 초 보험사 최고경영자(CEO)와의 간담회에서도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은 "국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실 있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실손보험 손해율의 경우 작년(117.2%)과 올해(118%·3분기 말 기준)가 비슷한 수준이다.

작년 손해율을 기초로 올해 실손보험료가 평균 8.9% 올라간 것을 감안하면 올해도 비슷한 상승 압박이 있었던 셈이다.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