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대구지역 올 1차 학폭 실태조사 피해응답률…전국 평균보다 낮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대구=뉴시스] 대구시교육청 전경. (사진 = 뉴시스 DB) 2019.03.02.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구=뉴시스] 박준 기자 = 교육부의 올해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에서 대구시교육청의 피해응답율이 0.9%로 전국 평균 1.9%(지난해 전국 평균 1.7%)보다 낮게 나타났다.

15일 대구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교육부가 지난 4월10일부터 5월10일까지 전국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대구지역의 학생 참여 현황을 보면 초4~고3 재학생 18만3809명 중 91.6%인 16만8413명이 실태조사에 참여해 전국 평균 참여율 82.6% 보다 높았다.

대구지역 학생 피해응답률은 0.9%로 지난해 0.8%보다는 0.1%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국 평균 1.9%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학교급별 피해응답률을 보면 초·중·고등학교가 각각 1.6%, 0.6%, 0.2%로, 전국 평균(초 3.9%, 중 1.3%, 고 0.4%) 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또 학교폭력 발생 시 피해학생 10명당 9명(91.9%) 이상이 적극적으로 신고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신고방법은 가족(35.5%), 학교 선생님(35.2%), 친구나 선·후배(14.2%), 117센터 및 경찰서 등의 기관(4.5%), 학교 밖 상담기관(1.3%), 학교 익명 게시판(1.2%)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 유형별로는 언어폭력(37.6%), 신체폭력(16.5%), 집단따돌림(15.1%), 강요(7.9%), 사이버폭력(6.0%), 스토킹(5.9%), 금품갈취(5.7%), 성폭력(5.3%) 순으로 조사됐다.

학생 1000명당 피해 학생 수는 언어폭력(5.8명), 신체폭력(2.5명), 집단따돌림(2.3명), 강요(1.2명), 사이버폭력(0.9명), 스토킹(0.9명) 순이었다.

가해 이유는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가 34.0%로 가장 높았다.

'피해학생이 먼저 나를 괴롭혀서'가 24.1%, '피해학생과의 오해와 갈등으로'가 11.3%, '화풀이 또는 스트레스 때문에'가 9.7%, '피해 학생의 행동이 마음에 안 들어서'가 9.4%, '다른 친구나 선·후배가 하니까'가 4.5% 등으로 나타났다.

대구교육청은 학교폭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3-STEP' 학교폭력예방 대응 시스템 운영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대구교육청은 1단계(사전 예방)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운영을 강화한다.

언어폭력이 학교폭력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점을 감안해 학생 주도 언어문화 개선 활동, 교사 수업언어개선을 통해 언어폭력 발생을 최소화하고 회복중심 생활교육 및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해 학교폭력의 재발을 방지한다.

비폭력대화 체험교실을 대구민주시민교육센터 상설프로그램으로 개설해 학생들이 평화의 언어를 익히도록 하고 있다.

2단계(신속 대응) 학교폭력 사안 발생 시 신속 대응에 나선다.

내년부터는 교육부의 4세대 나이스(NEIS)와 연계한 학교폭력 사안처리 시스템을 도입해 학교폭력 사안을 기한 내에 신속하고 투명하게 처리하고 사안 처리의 전문성을 높여나간다.

3단계(회복 지원) 학교폭력 피·가해학생 지원도 강화한다.

지역 모든 학교에 전문상담인력을 배치완료하고 학교폭력 피해학생을 전담하는 마음봄센터와 대동마음봄센터 운영, 치유형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과 대안교실 운영 등을 통해 피해학생들의 심리 정서적 치유를 위해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가해학생 특별교육기관도 26곳을 운영해 가해학생과 학부모가 함께 상담과 교육을 받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강은희 교육감은 "우리 학생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에서 저마다의 꿈과 미래를 키워나갈 수 있도록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한 다양한 노력과 맞춤형 지원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e@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