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태안 백화산서 조선 임금 도교제사 터 '태일전' 흔적 발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건물지 3곳과 축대 흔적 발견…암막새·자기 등도 출토

"왕실과 연관된 건물 권위 보여줘"

연합뉴스

태안 백화산서 발견된 조선 임금 도교제사 터 '태일전' 흔적
[태안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태안=연합뉴스) 정윤덕 기자 = 조선시대 임금이 도교제사를 지내던 '태일전' 흔적이 충남 태안 백화산에서 발견됐다.

태안군은 지난 10월부터 진행한 백화산성 정비사업부지 발굴 조사 결과 태일전 건물지 3곳과 축대 흔적이 발견되고, 용문 암막새 등 다량의 기와와 자기가 출토됐다고 11일 밝혔다.

약 750㎡에 대해 이뤄진 발굴조사는 경북 의성에 있던 태일전이 1478∼1479년 태안으로 옮겨졌다는 조선왕조실록·신증동국여지승람·동국여지지 등 기록을 근거로 그 흔적을 찾고자 진행됐다.

1호 건물지의 기단(건물을 짓기 위해 흙이나 돌을 쌓고 다져서 만든 터)은 동서 길이 1천750㎝, 남북 길이 1천500㎝의 방형에 가까운 평면형태를 보인다. 기단 석렬(경계 설정 등을 위해 줄지어 쌓은 돌)은 4면에 모두 1단 정도가 남아 있다.

연합뉴스

태일전 1호 건물지
[태안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 중 동쪽과 남쪽의 기단석은 다듬어진 대형 장대석으로 확인되며, 기단 전면과 서쪽에는 계단시설로 추정되는 흔적이 남아있다. 초석(건물의 기초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기둥 밑에 고이는 돌)은 대부분 원형이며, 주좌면의 직경은 46∼70㎝이다.

1호 건물지에서는 초석 21개와 적심(초석을 받치는 건물 기초시설) 1개가 확인됐으나, 건물 규모는 후대의 교란으로 인한 초석 멸실 및 이동으로 명확하지 않다.

2호 건물지는 1호 건물지 기단 정면에서 서쪽으로 40∼60㎝ 떨어져 있다. 기단 규모는 동서 길이 520㎝, 남북 잔존 길이 460㎝다. 기단 석렬은 할석(깬 돌)을 이용해 축조했고, 교란으로 일부 사라져 1단만 남아있다.

연합뉴스

태일전 2호 건물지
[태안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3호 건물지는 1호 건물지 기단 정면에서 남쪽으로 700㎝가량 떨어져 있다. 계단시설과 일자로 이어지는 배치 양상을 보인다. 군은 이 건물의 문이 있던 자리로 추정되는 곳도 찾았으나 담장지 등 부속 시설물이 확인되지 않아 현재로선 단언할 수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축대는 1호 건물지 기단 후면에서 210∼230㎝ 떨어져 동서 방향으로 이어진다. 확인된 규모는 길이 1천810㎝, 최대 잔존높이 136㎝다. 축대 서쪽 구간은 자연암반을 적극 활용해 축석한 반면 동쪽 구간은 다듬어진 석재를 이용했다.

군 관계자는 "장대석을 이용한 기단시설과 원형 초석, 축대 등 상당한 위용을 갖춘 건물지와 관련 시설이 확인되고 출토 기와 중 용문 암막새 등이 포함됨에 따라 태안 태일전이 왕실과 관련된 권위 있는 건물이었음을 뒷받침해준다"고 설명했다.

가세로 군수는 "조선시대 태일전의 규모 및 실체, 왕실 도교 유적으로서 태안 백화산의 문화재적 가치를 확인했다"며 "성공적인 추가 발굴을 통해 태일전의 문화재 지정과 백화산성의 본모습 찾기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태일전 발굴현장 둘러보는 가세로 태안군수(가운데)
[태안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obr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