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마한 대표 유적 '영암 옥야리 고분'서 목관·옹관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암군, 자문위 열고 18호분 발굴 부장품 보고

연합뉴스

옥야리 고분군 발굴 현장서 보고회
[영암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영암=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전남 영암군은 5일 마한 대표 유적인 시종면 옥야리 고분군(18호분) 발굴조사에서 목관 2기, 옹관 2기, 석곽 2기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고대문화재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의 발굴 조사 결과를 전문가 자문위원회에서 보고했다.

18호분은 앞서 조사된 17, 19호분에 비해 목관 2기가 가장 밑에 조성되고 그 위에 옹관과 석곽을 배치된 것이 특징이다.

1호 목관의 머릿부분에서 귓불에 다는 장식품인 금동제이식(金銅製耳飾) 한 쌍이 장식고리까지 남아있는 상태로 발굴됐고, 그 밑에서는 목이 긴 항아리인 장경호(長頸壺)가 매납된 것으로 드러났다.

2호 석곽은 바닥석을 조성한 후 편평한 석재 4장을 이용해 벽을 축조했다.

석곽 내벽은 붉은 칠을 했고, 바닥에서는 목이 짧은 항아리 단경호(短頸壺)와 철기류가 발굴됐다.

1993년 조사해 고분 중심으로 목관이 안치된 것이 확인된 '영암 신연리 9호분'과 비슷한 양식이다.

영암은 다수의 고분이 집중분포해 고대 마한이 성장하고 그 세력이 자리했던 중심 지역으로, 그중 옥야리 고분군은 3∼6세기 고분 28기가 분포해 밀집도에서 다른 지역을 압도한다.

주변에는 당시 최고 권력층 또는 귀족층의 무덤인 '영암 내동리 쌍무덤', '옥야리 방대형고분', '신연리 고분군' 등이 있다.

이 시기 대형고분은 한 고분(분구)에 석실묘·석곽묘·옹관묘·토광묘 등 여러 매장시설이 다장(多葬)돼 흔히 '아파트형고분'이라 불린다.

고대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옥야리 18호분에서 나온 다양한 자료는 추가 발굴할 옥야리 고분군과 영암 일대의 다른 고분군과 비교해 각 고분 간의 선후·혈연·지위관계와 함께 당시 마한의 중심지로서 그 역사를 밝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chog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