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인천 백령 · 대청도 10억 년 전 모래 · 진흙 퇴적으로 생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소청도 분바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 흔적 화석이 남아 있는 인천 백령도와 대청도가 10억 4천만 년 전부터 9억 5천만 년 전 사이에 생성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인천시가 오늘(5일) 공개한 '백령·대청·소청도 지질유산 전문학술조사' 용역 결과에 따르면 백령도와 대청도는 이 시기에 퇴적된 모래와 진흙이 굳어져 만들어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후 9억 년 전부터 8억 9천만 년 전 사이에 소청도가 생성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백령·대청·소청도에서 관찰되는 여러 퇴적구조를 종합한 결과 해당 지역은 비교적 얕은 바다 환경에서 퇴적이 이뤄졌고 점차 해수면이 낮아졌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백령·대청·소청도 퇴적 이후 관입(마그마가 암석 틈을 따라 들어가 화성암으로 굳어지는 과정)한 암석들로 미뤄 이 지역이 9억 4천만 년 전 동북아 일대에서 발생한 거대 화성암체 생성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이런 연구 결과는 지질학계 저명 학술지 '선캄브리아 연구(Precambrian Research)' 최신호에 수록됐습니다.

인천시는 2019년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백령·대청·소청도 일대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기 위해 올해 6월 환경부에 신청을 냈습니다.

시는 세계지질공원 신청서에 수록될 국제적 가치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지난해 6월부터 18개월간 이번 연구용역을 진행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