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장수 침령산성 춘송리 고분군서 신라고분 다량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장수 침령산성 춘송리 고분군.(장수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장수=뉴시스]최정규 기자 = 전북도 역사문화권 조사정비 사업 중 하나로 추진 중인 장수 춘송리고분군 시굴조사에서 다량의 신라고분이 확인됐다.

특히 4호분은 도굴 피해도 입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향후 발굴조사에서 그 실체가 드러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1일 장수군에 따르면 이번 춘송리고분군 시굴조사는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장수군과 군산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가 협력해 진행했다.

장수 춘송리 고분군은 ‘침령산성(국가사적)’에서 서북쪽으로 뻗은 동일 산줄기에 위치해있다.

침령산성은 삼국부터 후삼국까지 운영된 장수군의 대표 산성으로, 학술연구 성과등을 통해 2023년 8월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중요유적이다.

장수 침령산성과 인접해 자리하고 있는 춘송리 고분군에는 대규모의 고분이 밀집돼 있으며, 산줄기 정상부에 대형분, 주변 사면부에 중·소형분이 분포하고 있다.

이 중 10기에 대해 시굴조사가 진행됐으며, 석곽묘(돌덧널무덤, 시신이 묻히는 공간) 9기가 확인됐다. 석곽묘는 장축 방향이 등고선과 평행하고, 다듬지 않은 깬돌(割席)로 축조됐다.

이는 경주·울주·김천 등에서 조사된 신라 석곽묘의 속성과 상통하는 것으로, 그 중 4호분은 봉분의 지름이 15m 내외의 대형분이며, 석곽묘의 길이가 4m 이상이다.

또 시굴조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7세기 전반 무렵의 신라토기(뚜껑 편)가 출토돼 신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훈식 장수군수는 “향후 발굴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침령산성의 역사성을 밝히기 위한 핵심 자료가 드러날 것”이라며, “우리 지역에 숨어있는 역사적 사실들을 밝히기 위한 발굴조사를 앞으로도 계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jk9714@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