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다음달 초·중순 공관위 출범 추진
당무감사·혁신위 컷오프 기준 높아질듯
현역 50%인 영남권 및 중진 반발 기류
"당 지도부, 험지보다 불출마 택할 수도"
김기현號 힘 실어주기…공관위원장 하마평 무성
28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최근 열린 비공개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공관위를 다음 달 초반이나 중순께 구성할 것을 논의했다. 특히 김기현 당 대표가 직접 나서 공관위 구성을 늦춰선 안 된다는 의견을 강하게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국민의힘 최고위원회는 공관위 출범시한을 총선 120일 전(12월 12일)에서 90일 전(1월11일)으로 바꾸는 당헌·당규 개정을 의결했다. 과거 사례를 감안해 현실적으로 공관위 구성 시기를 늦춘 것이다. 이를 두고 앞서 혁신위가 제시했던 민감한 공천 문제를 최대한 미루기 위한 조치라는 지적도 나왔다.
당 핵심 관계자는 “최근 당 지도부와 혁신위와 불협화음이 나오고, 수도권 위기에 따른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설이 끊이지 않자 김기현 지도부 체제를 더욱 굳건히 하도록 공관위 구성을 앞당기려는 목적으로 보인다”며 “공관위원장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공식 논의가 없었지만 선거 승패를 좌우할 수 있는 최종 공천을 맡은 중책인 만큼 외부 원로인사가 맡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2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 당내에서는 국민의힘 공관위원장 후보로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안대희 전 대법관, 김황식 전 국무총리,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등이 거론되고 있다. 공관위가 공식 출범하면 그동안 혁신위가 제시했던 당 혁신 방안과 3년 만에 진행한 당무감사를 바탕으로 공천 컷오프 기준, 경선 방식 등을 정할 것으로 보인다.
익명을 요구한 당 관계자는 “앞서 혁신위나 당무 감사에서 현역 하위평가 20%가량을 공천에서 배제할 것을 예고했지만 실제로 공관위에서는 당내 절대 평가가 아닌 상대 당과의 맞대결 등을 감안하기 때문에 그 비중이 훨씬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영남권 물갈이 ‘촉각’…“지도부 용퇴 결정할 듯”
공관위는 출범 직후 앞서 진행한 당무감사 자료와 경쟁력 평가 등을 토대로 각 지역구와 비례대표 후보를 확정하는 작업을 할 예정이다. 앞서 당무감사위에서 진행한 하위 22.5%에 해당하는 46곳의 당협의 컷오프 결과도 전달될 예정이라 이에 대한 당내 반발을 어떻게 잠재울지가 관건이다. 또 혁신위가 제시한 당 지도부, 중진, 대통령 측근 등에 대한 불출마 및 험지 출마 시기도 지켜봐야 할 관전포인트다.
앞서 지난 27일 당무위는 전국 253개 당협위원회 중 사고 당협 39곳, 8월 말 임명된 당협 10곳을 제외한 204곳에 대한 당무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인 204곳의 당협 중 하위 22.5%에 해당하는 46곳의 당협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 이 결과를 총선 컷오프 기준으로 공관위에 권고하기로 했다.
당 관계자는 “국민의힘 의원 전체 112개 의석 중 영남권 비중은 절반인 50%에 달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텃밭인 TK(대구·경북)와 PK(부산·경남) 물갈이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당 지지율이나 같은 권역 평균 지지율보다 개인 지지율이 현격하게 낮은 경우에는 탈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혁신위가 제시한 핵심 방안인 ‘주류 용퇴·험지론’을 당 지도부가 받아들일지도 관건이다. 공관위 구성과 별도로 이는 당 지도부의 의사에 달려 있는 사안이기 때문에 수용 여부에 그 시점에 관심이 쏠린다. 익명을 요구한 국민의힘 의원은 “공관위가 구성된 이후 당 지도부는 용퇴론이 가장 총선에 효과가 발휘할 수 있을 시점에 전격 입장을 밝힐 가능성이 높다”며 “김 대표는 험지 출마보다는 불출마를 선언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지난 8월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2023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에서 당 소속 의원들이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