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서울시, 환구단 정문 철제울타리 걷어낸다…내달 전면 개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광장 주변 보행친화공간 조성…공공공간 활성화

연합뉴스

환구단 정문 개방안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서울 덕수궁∼소공동 사이에 있는 문화재인 환구단의 울타리가 철거된다.

서울시는 지난 10년간 철제울타리 속에 갇혀 있던 환구단(원구단) 정문을 다음 달부터 시민에게 전면 개방한다고 28일 밝혔다.

문화재·민간 건축물 등 저층부를 개방해 공공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한 첫 번째 시도라고 시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환구단 정문을 비롯해 근대 문화유산인 환구단을 더 쉽게,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게 됐다.

국가지정문화재이자 사적 157호인 환구단은 1897년 고종황제가 대한제국의 성립을 대내외에 알리고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조성됐다.

특히 문화재자료 53호인 정문은 환구단의 첫 관문에 해당하는 건축물로 상징성을 지니며, 1969년 우이동 옛 그린파크 호텔로 옮겨졌다가 2009년 현재 위치로 이전 복원됐다.

하지만 환구단과 그 정문은 민간 건축물로 둘러싸여 있는 데다가 진출입 부에 시야를 가리는 여러 물리적 경계 요소가 있어 그동안 접근이 쉽지 않았다.

특히 조선호텔에서 바라보는 경관이 아름다워 이른바 '환구단 뷰'라고도 불리지만, 철제울타리로 단절된 정문(주 진입로), 열악한 주변 가로환경으로 환구단의 존재조차 모르는 시민도 많다.

이에 시는 환구단의 고유 역사성을 살리고 시민들이 더 접근하기 편리하도록 개선하고자 이번 개방을 결정했다.

철제울타리 철거와 함께 화재·안전관리 계획안을 마련하고, 시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면서 개방이 이뤄지게 됐다.

시는 관계부서 협업을 통해 정문 주변의 철제울타리 철거 공사 등을 시행하고 연내 개방할 방침이다.

또 중장기 계획으로 관계기관(부서), 문화재 분야 전문가 등과의 협의와 조정 과정을 거쳐 환구단 일대의 열린 정원 조성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홍선기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환구단이 시민의 일상과 함께하는 역사적 공간으로 재탄생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도시적 관점에서 덕수궁∼서울광장∼환구단이 보행 중심의 시민 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kihu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