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9 (토)

이슈 로봇이 온다

“인건비·인력난 부담 덜어주지만 일자리가~”…기업도 정부도 ‘로봇’ 도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학교 급식실에 등장한 급식 로봇
기업들은 이미 앞다퉈 로봇 도입
인건비·인력난…“달리 방법 없다”


매일경제

지난 22일 오전 서울 성북구 숭곡중학교 급식실에서 급식 로봇이 조리를 하는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외식사업을 하는 기업들에 이어 정부까지 음식 조리 현장에 로봇을 투입하기 시작했다.

뜨거운 불 앞에 몇 시간씩 서 있어야 하는 등의 위험성을 줄이면서 작업 효율성은 높이게 됐지만,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25일 교육당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서울 성북구 숭곡중학교 급식실에서는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 손웅희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전국 최초로 도입된 ‘급식 로봇’의 시범 운영이 이뤄졌다. 이 로봇은 말 그대로 사람 대신 단체 급식을 만들어내는 기계다.

지난 8월 전국 최초로 급식 로봇을 도입한 숭곡중학교에서는 현재 로봇 4대와 조리사·영양사 7명이 학생들의 먹거리를 만들어내고 있다.

조리 과정에서 온도가 높고 위험한 볶기, 국 만들기, 유탕 등이 급식 로봇의 역할이다. 만들어내는 음식의 양은 매끼 720인분에 달한다.

재료 손질 과정에서 식칼 등 날붙이를 써야 하는 것은 물론, 고온에서 조리할 때 화상 위험도 있는 만큼 급식실 산재는 그간 빈번한 일이었다.

경기 지역만 해도 지난해 각 학교 급식실에서 500건 이상의 산재가 발생한 뒤 올해 들어서도 6월까지 255건의 사고가 이어졌을 정도다.

급식로봇 도입은 산재를 줄이면서도 업무 효율성은 높이기 위함이지만, 관련 소식을 전한 기사에는 회의적인 댓글이 이어졌다.

로봇을 청소하고 관리하는 역할이 남았다고 해도 급식종사자 등의 일자리가 곧 줄어들 것이란 시각이 우세했다.

실제로 외식 프랜차이즈업계에서는 교육당국보다 로봇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더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글로벌 원가 부담이 큰 상황이지만, 음식·서비스 단가를 무분별하게 인상하면 소비자 반발에 부딪힐 수 있어 차선책으로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함이다.

풀무원의 경우 이달 22~25일 열린 서울국제식품산업전에서 무인 즉석조리 자판기 ‘로봇셰프’를 처음 선보였다.

로봇셰프는 풀무원이 최근 KC인증을 완료하고 론칭한 국내 최초의 스마트 무인 즉석조리 자판기다. 냉동 제품을 90여초 만에 전문점 수준으로 조리하는 수준이다.

매일경제

지난 10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IFS 프랜차이즈 창업박람회에서 관람객들이 치킨을 튀기는 기계를 보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또 롯데GRS는 로봇 키친 스타트업 에니아이(Aniai)와 업무협약(MOU)을 체결, 내년 1월 리뉴얼 개점하는 롯데리아 구로디지털역점 주방에 자동화 로봇을 들일 예정이다. 수작업보다 조리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외식업계의 구인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게 목표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 역시 지난 10월 협동로봇 종합솔루션 기업 두산로보틱스와 ‘치킨로봇 솔루션 확산’을 위한 MOU를 맺었다.

튀김 바스켓 6개를 동시에 운영하는 로봇을 단계적으로 전국 모든 가맹점(1300여곳)에 도입할 것이라고 교촌에프앤비는 설명했다.

복수의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로봇을 활용하려는 가장 큰 이유가 인건비, 인력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라고 입을 모았다. 일할 사람을 구하기도 힘든데다 급여 부담까지 있어 중장기적으로 로봇 도입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고온으로 먹거리를 조리해야 하는 치킨집, 버거 프랜차이즈 등이 인건비, 인력난 문제를 가장 체감하는 업종”이라며 “가맹점주가 아르바이트생에게 최저임금만 주면 사실상 직원을 구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르바이트생 입장에서는 같은 시급이라면 편의점이나 카페 등 업무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곳을 선호하는 게 당연하다”며 “이렇다 보니 기업들은 로봇을 들여서라도 인력난 등을 해결하려 하는데 전체 노동시장에서는 일자리가 줄어드는 셈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 업계에서는 로봇을 도입하는 시도가 학교 급식실, 음식점 주방뿐만 아니라 서빙이나 배달, 창고·물류 관리 등 타 업종으로도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스템 안정과 상용화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으나, 사실상 예정된 수순이라는 전망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