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16 (일)

이슈 의대 정원 확대

與 “정부, 의대 정원 규모 차질 없이 결정해주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협, 국민 외면 말고 머리 맞대주시길 간곡히 요청”

헤럴드경제

유의동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지역 필수의료 혁신 TF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진 기자] 국민의힘은 23일 정부에 차질 없는 의과대학 증원 규모 결정을 당부했다. 의대 증원을 반대하는 대한의사협회(의협)에도 협조를 호소했다.

유의동 국민의힘 정책위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지역 필수의료 혁신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의대 입학정원 수요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전국 40개 의과대학이 2025학년도에 희망한 신입생 증원 규모는 최소 2151명, 최대 2847명에 달했다”며 “현재의 교원과 교육시설 보유 역량으로 의학교육의 질을 유지하며 늘릴 수 있는 최소치와 의대에 추가 교육여건을 확보했을 때 증원이 가능한 최대치”라고 설명했다.

유 의장은 “의사를 배출하기까지 10년이 걸린다는 점에서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며 “입시 일정을 고려하면 내년 1월까지는 정원 규모를 확정해야 하는 만큼, 정부는 적정 증원 규모를 차질 없이 결정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한의사협회도 국민의 고통과 불편을 외면하지 말고 지역 필수의료 살리기에 함께 머리를 맞대주시기를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호소했다.

유 의장은 “지난해 수도권으로 와서 원정 진료를 받은 지방 환자가 70만명에 달했다”며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 ‘원정 출산’, ‘서울 안 가면 병 못 고친다’는 얘기가 더 이상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국민의 생명을 다루는 의사는 ‘양성’되어야 하는 것이지, ‘양산’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각별히 고려해 의대 정원 문제를 다뤄야 한다”며 “필수의료 분야 현장에 계신 의료인들을 위한 수가 인상과 근무여건 개선 등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TF는 이날 복지부로부터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 정책 추진 현황을 보고받고, 정책에 반영할 사항 등에 대한 질의 및 토론을 진행했다.

헤럴드경제

23일 국회에서 열린 지역 필수의료 혁신 TF 1차 회의.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oho0902@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