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최상위권 소신 지원' 많아질 듯…지역의대 수시 경쟁률 하락 전망
![]() |
의대 정원 확대 수요조사 결과 최대 2천847명 희망 |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각 의과대학이 2025학년도 대입에서 의대 정원을 현재의 2배 가까이 늘리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의대 정원 확대가 대입 지형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구체적인 증원 규모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늘릴 것이란 입장을 정부가 재확인하면서, 현재 진행 중인 2024학년도 대입에선 내년 의대 진학을 노리고 최상위권의 소신 지원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가뜩이나 최근 '의대 열풍'으로 N수생이 늘어난 가운데 의대 정원까지 늘어나면 이 같은 추세는 더욱 가속할 것으로 보인다.
![]() |
의대 정원 확대 수요조사 결과 발표…최대 2천847명 희망 |
◇ 수능 의대 합격권, 정원 4천명 증원 때 국수탐 평균 2.3점 하락
21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는 2025학년도 대입에서 현재 3천58명인 의대 정원을 최소 2천151명, 최대 2천847명 더 늘리고 싶어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각 의대의 희망 증원 폭은 매년 확대돼 2030학년도에는 2천738명∼3천953명 늘리고 싶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나 대학들의 증원 수요가 예상보다 큰 것으로 나타난 만큼 2025학년도부터 적용될 증원 폭이 상당할 수준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당장 현재 진행 중인 2024학년도 대입에도 최상위권을 중심으로 영향이 불가피해 보인다.
내년부터 의대 문턱이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로 재수나 N수 가능성을 열어두는 수험생이 많을 것으로 예상돼서다.
그러나 1천명 증원되면 백분위 평균이 94.5점으로, 2천명 증원 때에는 94점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증원 폭이 3천명이 되면 93.5점까지 점수가 내려가고, 4천명으로 확대되면 93점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성균관대, 서강대 최상위 학과 합격권이면 의대에 합격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 역시 "금년도에는 소신 지원 패턴이 늘어날 것"이라며 "의대 진학을 위한 상위권 이공계 대학의 반수 역시 늘어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 |
의대 입학정원 수요조사 결과 발표하는 복지부 |
◇ 전체 의대 경쟁률 상승·하락 여부는 미지수
![]() |
[그래픽] 의대 정원 확대 희망 규모 |
인문계열 최상위권 역시 의대 진학에 뛰어들 가능성도 있다.
선택과목이 사라지고 수학의 출제 범위도 현재 문과생 수준으로 좁혀지는 2028학년도 대입부터는 이 같은 움직임이 더욱 가속할 수도 있다.
임 대표는 "수능 수학 미적분을 택한 문과 학생 비중은 작년 5%에서 올해 10%로 확대되는 등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과학탐구 가운데 지구과학, 생명과학은 (문과 학생들도 잘하는) 암기 과목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문과에서도 의대로 대거 쏠릴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이과 통합 수능이 되는 2028학년부터는 의대 쏠림이 더 커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우 소장은 "최근에 의대들 역시 수능 필수 응시 영역을 폐지하는 추세이고, 일부 인문계열 학생들은 이미 수학 미적분을 응시하는 상황"이라며 "(인문계열) 재학생은 어려울 수 있지만, 재수생의 경우에는 의대에 도전해보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대입에서 전체 의대 경쟁률이 오를지, 떨어질지는 현재로선 미지수다.
의대 준비 집단이 늘어나는 것은 경쟁률 상승 요인이지만, 의대 정원 확대는 경쟁률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다만 정부가 지역 필수 의료 여건 강화를 의대 증원 배경으로 내건 데다, 일부 지역 의대들이 지역인재 전형 비율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상황이어서 지역 의대의 수시모집 경쟁률은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임 대표는 "지역 의대 수시 경쟁률은 현재보다 크게 떨어질 수 있다"며 "어느 지역의 정원이 얼마나 확대되느냐, 지역 내 학령인구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경쟁률 차이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porqu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