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작년 96만 명 집 1채 이상 샀다…4만 5천 명은 2채 이상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100만 명에 가까운 개인이 집을 1채 이상 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 소유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다주택자 비중과 주택 소재지와 같은 지역에서 사는 소유자 비중은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통계청은 오늘(14일) 이런 내용의 '행정 자료를 활용한 2022년 주택 소유 통계'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주택 소유자 중 직전 1년간 1채 이상의 집을 사들인 사람은 96만 2천 명이었습니다.

이 중 집 1채를 산 사람은 91만 7천 명(95.4%), 2채는 3만 2천 명(3.3%), 3채 이상은 1만 2천 명(1.3%)이었습니다.

무주택자였다가 주택 소유자가 된 개인은 68만 6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거꾸로 같은 기간 소유 주택 수가 감소한 개인은 65만 2천 명이었고 이 중 1건을 줄인 사람은 61만 8천 명(94.7%)이었습니다.

이중 모든 주택을 처분해 유주택자에서 무주택자가 된 사람은 37만 3천 명이었습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주택 소유자는 1천530만 9천 명으로 전년(1천508만 9천 명)보다 22만 명(1.5%) 늘었습니다.

이들이 소유한 주택은 1천643만 2천 호로 전년(1천624만 2천 호)보다 19만 호(1.2%) 증가했습니다.

주택소유자 기준 1인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07호로 전년(1.08호)보다 감소했습니다.

1인당 소유 주택 수 감소는 하락세인 다주택자 비중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난해 주택을 1건만 소유한 사람은 1천303만 5천 명(85.1%), 2건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는 227만 5천 명(14.9%)이었습니다.

다주택자 비중은 2019년 15.9%를 기록한 뒤 매년 하락세입니다.

개인 소유 주택 중 단독 소유는 1천424만 2천 호(86.7%), 2인 공동소유는 202만 5천 호(12.3%), 3인 이상 공동소유는 16만 4천 호(1.0%)였습니다.

개인 소유 주택 중 소유자의 거주지와 소재지가 같은 주택의 비중은 86.4%로 전년보다 0.1%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외지인의 주택 소유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늘었다는 의미입니다.

외지인 주택 소유 비중은 시도 중에서는 세종(30.2%)이 가장 높았고 시군구 기준으로는 서울 용산구(54.4%)가 가장 높았습니다.

서울의 경우 외지인 주택 소유자가 사는 지역은 경기 고양시(6.6%)에서, 경기도는 서울 송파구(4.4%)에서 가장 많았습니다.

주택 소유자 중 여성 비중은 45.9%로 전년보다 0.3%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 주택 소유자가 385만 2천 명(25.2%)으로 가장 많았고 60대(22.1%), 40대(21.7%), 70대(11.7%), 30대(10.1%) 순이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주택 소유자가 전년보다 증가했고 특히 세종(14.8%)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1인당 평균 소유주택 수는 제주 거주자가 1.13호로 가장 많았고 세종 거주자는 1.04호로 가장 적었습니다.

가구 기준으로 보면 전체 2천177만 4천 가구 중 주택 소유 가구는 1천223만 2천 가구(56.2%)였습니다.

전년보다 17만 가구(1.4%) 증가한 것입니다.

주택 소유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 가액은 3억 1천500만 원,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34호, 평균 면적은 86.7㎡, 평균 가구주 연령은 56.8세, 평균 가구원 수는 2.58명이었습니다.

상위 10% 평균 주택 자산 가액은 12억 1천600만 원이었고 하위 10%는 3천만 원이었습니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