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與 윤창현 “공천 잘했느냐의 마지막은 당선 여부… 유명하다고 다 성공하는 건 아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민의힘 총선기획단 위원 윤창현 의원, SBS 라디오서 “아주 정교한 접근 필요하다”

세계일보

지난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민의힘 ‘국민 마음 총선기획단’ 1차 회의가 열리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혁신을 외치는 국민의힘이지만 결과까지 더불어민주당에 내주면서 그러고 싶지는 않다. 당의 혁신과 민생의 소중함을 체감하지만, 끝에 가서 남는 건 결과여서다. 공천관리위원회의 발판이 될 ‘국민 마음 총선기획단(총기단)’까지 출범한 터라 더욱 그렇다. 총기단 위원인 윤창현 의원은 9일 ‘선거=결과’라며 명분과 실속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선거의 공천을 잘하느냐의 마지막은 결국 당선 여부”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누가 어디에 나올지는 굉장히 복잡한 문제이고 아직 정리가 덜 된 상태에서 너무 일찍 평가하는 것은 조금 빠르다고 본다”며, “전국적인 인물이 어떤 특정 지역에 갔을 때 전국적인 인지도와 특정 지역에서의 민심이나 지지도가 꼭 같으리라는 법은 없다”고 덧붙였다.

윤 의원은 “그런 것들을 정확하게 연결시켜 당선 가능성과 맞물려 잘 배치해야지, 유명하니까 배치만 하면 다 성공한다는 건 전혀 아니라는 면에서 아주 정교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고도 강조했다. 당의 혁신을 내걸고 불거진 ‘중진 험지 출마론’처럼 국민의힘의 새로운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나중에 기억되는 것은 2등이 아닌 1등이라며 결국은 승리를 최우선에 둔 전략도 고려해야 한다는 말로 해석된다.

윤 의원 발언은 지난 8일 총기단 1차 회의 자리에서 나온 이만희 사무총장의 그림과 사실상 같다.

총기단장을 맡은 이 사무총장은 1차 회의를 앞두고 모두발언에서 “시대적 개혁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국민의힘은 반드시 총선에서 승리해야만 한다”며, “사명감과 책임감을 갖고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각오를 드러냈다.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는 민생에 대한 당의 무한책임과 뼈를 깎는 수준의 혁신을 요구한다며, 이 사무총장은 “분골쇄신의 자세와 환골탈태의 각오로 경제와 민생을 살리는 유능한 정당, 새로운 정치제도를 개혁하는 혁신 정당으로 발돋움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이 사무총장은 총기단이 지향하는 공천 원칙을 알리면서 제일 먼저 ‘이기는 공천’을 내세웠다. 역량과 도덕성을 갖춘 경쟁력 있는 후보가 국민의힘의 선수가 되어야 하고 그 길을 총기단이 열겠다면서다. ‘공정한 공천’과 ‘질서 있는 공천’을 다짐하고는 챙기 주기 공천이나 이른바 ‘밀실 공천’은 없을 거라고 못을 박았다. 이와 함께 더 이상 ‘감(感)’ 의존하는 게 아닌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인 캠페인 전략을 짜겠다면서, 이 사무총장은 “반드시 총선 승리로 국민께 더 나은 내일을 열어드리겠다”고 약속했다.

같은 자리에서 민주당이 7석을 모두 가져간 대전의 현주소를 언급한 윤 의원은 9일 라디오에서 ‘내년 총선에서 가장 중요한 게 뭐라고 보느냐’는 진행자 질문에 “국민 삶에 영향을 미칠 어젠다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 같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특히 ‘중진 험지 출마론’을 놓고는 당의 전체적인 시선은 아직 관망 수준 같다고 진단했는데, 윤 의원은 “어떤 이야기가 딱딱 나왔을 때 그 이야기에 즉시 반응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다음 이야기가 여러 단계로 나오지 않겠나”라며 “그런 애기들을 종합해 판단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지금 단계에서는 험지 출마론이 좋은지 나쁜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건가’라는 취지 추가 질문에 윤 의원은 “통합은 모두 찬성하지만 희생의 문제는 개인의 의사결정에 관련된 문제도 있다”며, “다만 다음 단계도 보고 여유 있게 문제를 풀어가는 해결방식도 있다”는 말로 ‘완전한 반대’는 아니라는 부연설명도 더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