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한국어로도 구글 '생성형 AI 검색' 쓴다…서치랩스도 사용 가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어 등 4개 언어 추가…120개 국가로 서비스 확대

이어서 질문하기·리소스 링크 표시 등 성능 업그레이드

뉴시스

생성형 AI 검색이 적용되어 '이어서 질문하기' 기능을 사용하는 검색결과 예시. '고래가 노래를 부르는 이유'를 검색하면 결과 하단에 이어서 질문하기 및 관련 제안 질문들이 보인다. (사진=구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이제 한국어로도 구글의 생성형 AI(인공지능) 검색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구글은 한국어로 이용가능한 미래형 검색 경험인 '서치랩스(Search Labs)' 및 '생성형 AI 검색(SGE)'을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구글 생성형 AI 검색에는 기존의 영어, 일본어, 힌디어에 더해 한국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인도네시아어 등 총 4가지 언어가 추가됐다. 서치랩스와 생성형 AI 검색을 이용할 수 있는 국가도 한국을 포함해 멕시코, 인도네시아 등 총 120개국으로 확대됐다.

서치랩스는 초기 단계의 구글 제품들을 실험적으로 이용해보고 피드백을 나눌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이다. 안드로이드 및 iOS 환경 내 '구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데스크톱의 크롬 브라우저로 이용 가능하다. 각 환경에서 구글에 접속 시 상단에 실험 플라스크 아이콘이 보이고, 이를 클릭해 생성형 AI 검색 활성화를 설정할 수 있다.

구글은 지난 5월 진행된 개발자 연례 행사 I/O에서 생성형 AI 검색을 처음으로 공개한 이후 이용자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해 더 쉽고 빠른 방식으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새로운 검색 기능을 지속적으로 실험해왔다. 이제 한국 이용자들은 생성형 AI 검색을 통해 자신이 검색한 내용과 가장 연관성이 높고 유용한 정보를 종합해서 보여주는 AI 검색 결과를 한국어로 확인할 수 있다.

생성형 AI 검색은 결과의 정보를 뒷받침해주는 리소스 링크를 표시해 이용자들이 직접 정보를 확인하고 더 자세히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어서 질문하기' 기능을 활용하면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대화모드를 통해 바로 이어서 질문하며 더 편리하게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중간에도 쉽게 이전 질문들과 검색 결과들로 돌아가 다시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래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상을 보고 '고래가 노래를 부르는 이유'를 검색한 뒤 고래에 대해 다른 정보를 더 알아보고 싶다면, 이어서 질문하기를 클릭해 '고래는 어떻게 잘까?', '우리나라 바다에서 고래를 볼 수 있어?'와 같은 질문을 입력해 답변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구글 검색 광고는 새로운 생성형 AI 환경에서도 웹페이지 전반의 전용 광고 슬롯에 노출된다. 구글은 광고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광고가 일반 검색 결과와 구별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스폰서'라고 쓰인 라벨을 함께 표시해 광고임을 고지할 예정이다.

구글은 구글 검색에 새로운 생성형 AI 검색을 적용하기 위해 책임감 있고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생성형 AI 검색에 사용되는 모델은 더욱 안전하고 엄격한 기준을 유지하도록 훈련시키고, 생성형 AI 기능이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쿼리를 제한하는 등 추가적인 안전 장치들도 마련하고 있다.

헤마 부다라주 구글 생성형 AI 검색 수석 제품 디렉터는 "생성형 AI 검색을 이용해 구글은 더 많은 링크와 결과를 찾아 제시하고, 그 링크들이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더 광범위한 출처를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용자들이 새로운 콘텐츠를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이용자들이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검색하든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