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혼돈의 가상화폐

국채·달러가 ‘위험자산’, 비트코인·유가가 ‘안전자산’처럼 움직인다[투자36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윤호 기자]'위험자산처럼 등락하는 국채, 고금리와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상승하는 비트코인'

최근 주요 자산가격 흐름을 보면 안전자산과 위험자산간 경계 혹은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이투자증권은 7일 리포트를 통해 "통상 각종 리스크로 인해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될 경우 국채를 중심으로 채권가격과 달러 혹은 금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됐지만 기존 상식과는 상반되는 자산가격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으로 안전자산을 대변하는 미 국채 금리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기점으로 속등(국채가격 급락)했고, 특히 10월초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가 불거졌음에도 불구하고 금리 속등 현상이 가속화했다. 안전자산으로서 국채가 역할을 하지 못한 것이다.

달러화 역시 별반 다르지 않다. 9월 FOMC 회의 이후 상승했지만 10월 들어 달러화는 사실상 답보상태를 보였다. 과거처럼 달러화가 지정학적 리스크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은 것이다.

박상현 연구원은 "주목되는 것은 비트코인 가격"이라며 "국채 금리 급등과 지정학적 리스크가 동반됐음에도 대표적인 위험자산인 비트코인 가격은 10월 한달 약 29% 급등했다"며 "반면 중동 전쟁 확대 우려감이 증폭됐지만 유가는 하락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혼란스러운 각종 자산가격 흐름은 11월에도 이어지고 있다. FOMC 회의를 기점으로 소위 주식 등 위험자산 가격이 반등하는 가운데 국채 가격도 위험자산 가격처럼 급등(국채 금리 급락)하고 있다. 반면 유가와 비트코인 가격은 오히려 제자리 걸음이다.

박 연구원은 "단기적 현상일 수 있지만 안전자산과 위험자산간 경계가 불투명해진 배경으로는 통화정책 영향력 확대, 부채 리스크, 과거와 달라진 냉혹한 국제 질서, 투기자금 쏠림 현상 등을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침체가 현실화될 경우 과거와 같이 안전자산과 위험자산간 경계는 재차 뚜렷해지겠지만, 단기적으로 모호해진 경계 흐름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단순히 안전자산 혹은 위험자산으로 양분화되기 보다는 통화 및 재정정책 그리고 인플레이션 흐름에 따라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가격이 동조화되는 현상이 강화될 여지가 있다. 중요한 것은 자산이 아니라 자산 가격을 결정하는 변수 혹은 정책"이라고 덧붙였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youknow@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