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은 과일 중심으로 오름세
사과, 전년비 2배 수준 ‘고공행진’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우유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2.03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4.3%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 8월(20.8%) 이후 14년 2개월 만의 최고치다. 또 요거트 등 발효유의 물가 상승률이 14.7%로 2005년 5월(14.7%) 이후 18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았고 아이스크림도 15.2% 오르면서 2009년 4월(26.3%) 이후 14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우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분유도 10.6%로 오름폭이 대폭 확대됐다.
우유 원재료인 원유(原乳) 가격 상승으로 인해 흰우유, 발효유, 가공우유 등 유제품 가격이 연달아 오르고 있다. 사진은 지난 3일 서울 소재 유통매장에서 각종 유제품이 판매되고 있는 모습.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유 관련 제품의 물가 상승률이 고공행진한 건 지난달 원유 가격이 인상된 데 따른 것이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흰우유 제품 ‘나100%우유’(1L)의 출고가를 대형할인점 기준으로 3% 가량 올렸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에서 이 제품의 가격은 2900원대로 상승했다. 또 매일유업이 우유 제품 가격을 4∼6% 올리고 발효유·치즈 제품은 6∼9% 상향 조정했으며 남양유업은 흰우유 제품 ‘맛있는우유GT’(900㎖) 출고가를 4.6% 인상했다.
지난달 7%대 상승폭을 기록하며 전체 물가상승률을 견인했던 농산물 가격의 경우 이달에는 과일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이어질 조짐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관측 11월호 과일’, ‘농업관측 11월호 과채’ 보고서를 통해 이달 사과(후지·상품) 도매가격이 10㎏에 5만∼5만4000원으로 1년 전보다 79.9∼94.2% 올라 두 배 수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평년 도매가격과 비교해 87.2~102.2% 비싼 수준이다. 평년 가격은 2018년부터 작년의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간의 평균치다.
연구원은 또 배(신고·상품)는 15㎏에 5만3000∼5만7000원으로 1년 전보다 68.3∼81.0%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평년 가격과 비교하면 40.4∼51.0% 높다. 단감(상품)은 10㎏에 3만6000∼4만원으로 1년 전보다 41.7∼57.5% 오르고, 평년과 비교해 35.0∼50.0%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먹거리 가격이 좀처럼 안정세를 찾지 못하면서 올해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상승폭이 5%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10월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지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5.1% 상승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가공식품 등의 물가가 오른 데다 최근 이상기온까지 겹치면서 과일·채소류 가격이 오르면서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상승폭은 2019년 0.0%에서 2020년 4.4%로 치솟은 뒤 2021년 5.9%, 지난해 5.9%를 기록했다. 이대로라면 올해까지 3년 연속 5%를 넘기게 된다. 이는 2009∼2011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 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사과의 모습.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는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자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주요 식품 물가를 품목별로 집중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개 주요 품목의 담당자를 지정해 물가를 전담 관리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관리 대상은 서민들이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라면과 빵, 과자, 커피, 아이스크림 등 가공식품과 국제가격이 작년보다 35% 오른 설탕, 원유(原乳) 가격 인상 여파로 가격이 상승한 우유까지 모두 7가지 품목이다. 농식품부는 특히 주요 가공식품 물가를 관리할 TF를 신속히 구성해 TF 내에서 품목 담당자들이 시장 동향을 수시로 점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 2일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모든 부처가 물가 안정을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는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즉시 가동할 것”이라면서 각 부처 차관이 물가 안정책임관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 2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 경제장관회의 겸 물가 관계 장관회의에 참석해 물가 안정을 위한 각 부처의 관리를 강화를 핵심으로 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이런 행보가 인위적인 가격 억제 정책에 가깝다며 향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인플레이션 자체가 국제유가 인상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촉발된 측면이 큰데, 정부의 개입은 오히려 시장 가격을 왜곡할 수 있고 나중에 기업들이 한꺼번에 물가를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