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연금과 보험

고령자 치매 5년 사이 32% 증가했는데… 10명 중 8명은 보험 없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령자 치매 환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10명 중 8명은 치매·간병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생명·손해보험사에서 판매하는 치매·간병보험에 가입한 65세 이상 고령자는 161만명으로 가입률은 17.9%였다. 연령별 가입률은 60대가 27.2%로 가장 높았다. 다만 70대는 19.2%, 80대 이상은 1.9%로 나이가 많을수록 가입률은 크게 낮아졌다.

치매 치료·간병 비용이 크게 늘어난 상황에서 보험 미가입자들은 공적 간병보험인 장기요양보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지난해 장기요양보험의 1인당 연간 급여비는 1628만원으로 5년 사이 12.2% 증가했고, 2021년 치매 환자의 건강보험 본인부담금은 2조2000억원으로 최근 5년 동안 34.8% 증가했다.

한국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치매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900만명을 넘어 전체 인구의 17.5%를 차지했다. 이 비율은 2025년 20.6%로 증가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치매 환자는 94만 명으로 2017년(71만명)보다 약 32% 증가했다. 2050년에는 3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 유병률도 지난해 10.4%에서 2050년 16.6%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다.

이학준 기자(hakju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