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제2회 한은-대한상의 공동 세미나'에서 이종화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와 좌담회를 갖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으로 내년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이상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일 “내년 유가가 90달러만 돼도 한은의 (물가) 예측이 많이 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 주최한 ‘글로벌 무역파고 어떻게 극복하나’ 세미나에서 “한은 입장에선 당장 유가가 제일 걱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물가가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다가 지난 8월과 9월 유가가 많이 변동하면서 걱정되는 상황이 됐다”며 “미리 가정을 해서 할 수는 없지만 리스크 관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은이 지난 8월 전망한 내년 물가상승률은 2.4%로 이는 유가를 배럴당 84달러로 전제한 결과다. 유가 상승은 물가를 부추길 수 있고 그만큼 고금리도 장기화할 수 있다는 얘기다.
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제2회 한은-대한상의 공동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박수를 치고 있다. 오른쪽부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이종화 고려대 교수.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총재와 대담을 한 이종화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란이 개입하는 사태까지 가지 않는다면 한국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전쟁이 생기면 테러 위험성도 커지기 때문에 경제 활동에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는 세계 경제의 불안을 높이는 요소”라고 말했다.
앞서 이 교수는 기조연설에서 “지경학적 분열과 인구감소가 경제여건의 ‘뉴노멀’이 되어가고 있다”면서도 “다만 인구 감소 자체가 경제의 운명을 결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인구증가율이 낮을수록 1인당 자본과 1인당 생산량의 증가율을 높일 수 있으며, 노동 절약형 기술 발전ㆍ1인당 소득 및 삶의 질을 높이는 기회가 되는 측면이 있다는 의미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제도적으로 젊은층의 부모 부양 부담을 줄이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노인 봉양을 위한 사회보장이 충분하지 않고 비용이 들다 보니 나이 든 부모가 아프면 일을 그만두고 봉양하는 경우가 많다”며 “1인당 소득을 높이려면 젊은 사람들이 창의적인 기업을 만들어서 생산성을 높여야 하는데 이런 상황에선 굉장히 어려운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해외 노동자를 노인돌봄에 활용하는 등 부모 봉양을 도와줄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왼쪽 세 번째부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 내빈들이 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제2회 한은-대한상의 공동 세미나' 시작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이날 환영사에서 “고위험ㆍ고성장 첨단기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국가투자지주회사를 설립해 투자 마중물이 돼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기업이 투자를 늘리기 어려운 상황에서 정부가 직접투자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에 공감한다”면서도 “잘못하면 세계무역기구(WTO)ㆍ미국ㆍ유럽이 국영기업(state-owned company)이라며 제재를 가하는 등 통상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어떤 형태로 지원할지는 고민해봐야 한다”고 했다.
한은과 대한상의는 경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부터 매년 두 차례 공동 세미나를 열기로 했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 2월에 이은 두 번째로, 한은이 민간 기관과 정기적으로 세미나를 하는 건 대한상의가 처음이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