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축산 관련 종사자·차량, 일시 이동 중지
31일 경남도에 따르면 피부 결절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난 해당 소는 럼피스킨병 최종 양성 판정을 받았다.
경남 지역에서 처음 럼피스킨병이 발생한 농가 반경 10㎞ 내 소 사육 농가 454호 2만 마리에서는 현재까지 발병되지 않았다.
럼피스킨병 확진 판정이 난 경남 창원시 대산면 소 농가 인근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사진제공=경남도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남도는 확산 방지를 위해 해당 농가에서 사육 중인 소 29마리를 긴급행동 지침(SOP)에 따라 신속히 살처분을 완료할 계획이다.
앞서 경남도는 신고받은 즉시 동물위생시험소 가축방역관이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해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정밀검사를 의뢰했다.
도내 소 농장, 도축장, 사료공장 등 축산 관계시설 종사자와 차량에는 지난 30일 밤 11시부터 31일 밤 11시까지 24시간 동안 일시 이동 중지(standstill) 명령을 발령했다.
럼피스킨병 감염이 의심되는 소. [사진제공=경남도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는 이날 럼피스킨병 백신 1만두분을 우선 확보해 창원 지역의 모든 소 농장을 대상으로 접종을 빠르게 마칠 예정이다.
나머지 지역 농장에 대해서도 오는 11월 1일까지 백신 공급을 완료하고 가용 인력을 총동원해 접종을 조기에 완료할 방침이다.
이어 “백신접종 후 충분한 방어력을 확보하기까지 3주가 걸리므로 소 농가에서는 신속하게 백신접종을 완료하고 살충제 살포 등 구충 작업과 농장 및 주변 기구 소독 등을 실시해야 한다”며 “의심 증상이 나타나는 가축이 보이면 바로 가축방역관에게 신고해 달라”고 강조했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