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한은 "팬데믹 이후 노동 생산성 증가세 둔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실업률이 크게 줄어든 반면 노동 생산성 증가세는 둔화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은 오늘(24일) '팬데믹과 실업률 하락(Job-rich recovery)' 보고서에서 팬데믹 이후 노동시장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보고서는 실업률 하락 원인으로 ▲ 대면 서비스업의 빠른 회복 ▲ 근로 시간의 감소 ▲ 근로 조건 유연화 및 사회적 통념 변화 ▲ 노동 비축 등 네 가지를 들었습니다.

먼저 사회적 거리 두기로 큰 타격을 받은 대면 서비스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매칭 성공률' 덕분에 방역 대책 해제 이후 노동시장 회복에 기여했습니다.

근로 시간은 팬데믹 충격으로 축소된 뒤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는 결과적으로 취업자 수를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은 시뮬레이션 결과 근로 시간 감소로 인한 취업자 수 증가 효과는 93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팬데믹 이전인 지난 2019년 기혼 여성의 유연근무제 활용 비중이 14.4%에 그쳤으나, 2021∼2022년에는 20%를 웃돈 것은 근로 조건 유연화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특히 팬데믹 이전과 비교할 때 여성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은 각각 1.7%포인트(p), 1.3%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밖에 팬데믹 이후에도 인력난을 겪는 기업들이 예비적 동기에 의해 기존 취업자의 고용을 유지(노동 비축)하려는 경향도 보입니다.

보고서는 여성의 노동 공급 기반이 확대됨에 따라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 우려가 일부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다만, 고용 재조정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한 채 노동시장이 빠르게 회복한 것은 노동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고용 재조정은 경기 침체를 거치면서 생산성이 낮은 산업에서 생산성이 높은 산업으로 고용이 이동하고 노동 생산성이 나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한은은 "산업 간 고용 재조정이 활발하지 못했던 점은 앞으로도 노동 생산성 향상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팬데믹이 초래한 노동시장의 구조 변화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양적 고용 지표 이외에도 다양한 미시적 정보를 활용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

노동규 기자 laborstar@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