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전북 교육현장에 웨일 플랫폼 쓰인다" 네이버클라우드와 MOU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새로운 교육 플랫폼 구축

교육 환경 맞게 최적화

'웨일북' 기기도 활용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전라북도교육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웨일 스페이스 기반의 교육 플랫폼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전라북도교육청은 미래형 학습환경 조성을 위해 지난해 5월부터 네이버클라우드의 웨일 스페이스를 활용해왔다. 웨일 스페이스는 웹 기반 오픈형 플랫폼이다. 교육 현장이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학습 솔루션 등을 자유롭게 구성해 학생들에게 맞춤형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 웨일 스페이스에서 생성된 교육 데이터에 대한 권리는 해당 교육 현장에 부여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전북교육청은 웨일 스페이스를 전북 교육환경에 맞게 최적화해 새로운 교육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국내 교육 현장에서는 웨일 스페이스를 기반으로 독자적 교육 플랫폼을 운영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경상남도교육청의 '아이톡톡' ▲전라남도교육청의 '전남메타스쿨' ▲충청남도교육청의 '마주온'이 대표적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웨일 스페이스를 기반으로 전북형 교육 플랫폼이 안정적으로 개발 및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 전북교육청이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교육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다양한 미래형 교육 사례를 구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양측은 웨일 스페이스와 시너지를 내는 디바이스 '웨일북'을 활용해 미래형 수업환경 조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양 기관은 웨일북의 수업 활용성을 한층 높이기 위해 선생님을 대상으로 디지털 교육 역량 강화 연수 및 설명회를 추진할 예정이다. 전북교육청은 연내 초등학교 6학년과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웨일북 1만8200여대를 보급한다고 밝힌 바 있다.

김효 네이버클라우드 이사는 "웨일은 교육 현장이 웨일 스페이스에서 자체적인 미래형 에듀테크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수 있도록 웹 플랫폼 기술력을 꾸준히 고도화하고 있다"며 "전라북도 학생들이 스마트한 교육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게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