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1%대 금리? 기대 마라”
‘빚투족’에겐 거듭 주의 당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은행이 19일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6회 연속 동결이다. 하지만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물가상승률이 떨어지는 속도는 예상보다 늦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양상에 따라 물가·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한국도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긴축 기조를 지속하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금통위원 전원일치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3.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금통위는 지난 2·4·5·7·8월에 이어 이달까지 통화정책방향 회의 6회 연속 동결 기조를 이어갔다.
최근 국내외 경제 상황을 보면 금리를 올리기도 내리기도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이 총재도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여러 차례 강조하면서 “데이터를 보고, 전망 경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보고 판단하겠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우선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늘어나고, 원·달러 환율 수준도 1350원까지 높아지고 있는 점 등은 금리 인상을 필요로 하는 요인이다. 그러나 중국의 경기 부진 등으로 올해 성장률이 1.4%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고금리·고물가 부담으로 소비동력이 떨어지고 있는 점은 경기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따라서 금통위는 일단 동결 기조를 지속하면서 금리 조정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금통위 내부에서는 최근 국제유가 상승,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으로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짙어지고 있다. 금통위의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색채가 강해진 것이다.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을 통해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금년 말에는 3%대 초반으로 낮아지고 내년에도 완만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높아진 국제유가와 환율의 파급 영향,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수렴하는 시기도 당초 예상보다 늦춰질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 총재도 “금년 및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8월 전망치(3.5% 및 2.4%)를 상회할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물가상승률 전망치 상향을 기정사실화한 것이다. 반면 올해 경제성장률은 지난 8월 전망치 1.4%에 부합하고 있다고 밝혔다.
향후 기준금리 방향을 놓고서는 이견이 확인됐다. 이 총재는 “저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했다”면서 “그중 1명은 가계부채가 더 악화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나머지 1명은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이 워낙 커서 향후 3개월을 봤을 때 기준금리를 올릴 수도, 낮출 수도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었다”고 덧붙였다.
최근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이 총재는 “정 안 되면 금리를 통한 거시적인 조정도 생각해보겠지만 그런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부동산 가격 상승과 금리 인하를 기대한 ‘빚투’에는 거듭 경고 메시지를 던졌다. 이 총재는 “자기 돈이 아니라 레버리지(차입)로 하는 분들이 많은데, 금리가 다시 1%대로 예전처럼 떨어져서 이게 비용 부담이 적을 거라고 생각한다면 그 점은 경고해드린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금통위에서 한은의 금리 인하 시점도 늦어질 수 있다고 해석했다.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이 더 높아진 것이다. 채권시장 등에서는 일단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인하 가능성이 없다고 봤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전기 요금, 지하철 요금 등 시차를 두고 계속 나타나는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2%대 물가 확인은 더 늦어질 가능성도 상당하다”면서 “이럴 경우 한은의 금리 인하 시점은 2024년 4분기 혹은 2025년까지 지연될 여지도 열어놔야 한다”고 밝혔다.
이윤주 기자 runyj@kyunghyang.com
▶ 오뉴완으로 레벨업, 오퀴완으로 지식업! KHANUP!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