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감축·구조조정 문제에 지난해 이어 지하철 파업 가시화
시민 “지하철 파업하면 지난해처럼 1시간 먼저 나와야” 우려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들의 파업 찬반 투표가 73.4%의 찬성률로 가결된 가운데 1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지하철 승강장에서 시민들이 열차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 서울교통공사와 노조의 파업 찬반 투표가 가결되면서 ‘지하철 파업’이 가시화되고 경기도 버스노동조합의 총파업도 예고되면서 ‘출근길 대란’ 우려에 시민들이 한숨짓고 있다.
17일 서울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서울교통공사노조 연합교섭단이 지난 12일부터 16일 오후 2시까지 진행한 2023년 쟁의행위(파업) 찬반투표 결과 73.4% 찬성으로 파업이 가결됐다. 앞서 공사와 연합교섭단은 지난 7월 제1차 본교섭 개시 이후 본교섭 3회, 실무교섭 7회 등 총 10회의 교섭을 진행했지만, 제3차 본교섭에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교섭이 결렬됐다.
파업 투표 가결 소식이 나오자 지하철에서 만난 시민들은 한목소리로 우려했다. 시청역에서 만난 30대 직장인 박 모(36) 씨는 “안그래도 최근에 교통비가 올랐는데 파업은 매년 계속되는 것 같다”라며 “작년에 파업 때문에 직장에 늦어서 고생했는데 올해도 그럴 것 같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대학원생 김 모(27) 씨는 “버스타고 이동하면 학교까지 시간이 훨씬 오래 걸린다”라며 “지하철이 정말로 파업한다면 1시간은 일찍 나와야 할 것”이라고 한숨지었다.
파업을 이해한다면서도 시민의 발을 볼모로 잡는 것을 지적했다. 출근길에 만난 황주연(24) 씨는 “파업하는데 이유가 있다고 생각은 들지만, 출근길 지옥철을 생각하면 암담하긴 하다”라며 “지하철의 만성 적자에 대해 들어서 알고 있지만, 그래도 시민의 발이 멈추는 것은 좀 그렇다”고 했다. 왕십리역에서 만난 설 모(66) 씨는 “세상 모든 문제를 파업으로만 해결하는 풍토가 없어졌으면 좋겠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노조는 지난해 11월에도 인력 감축안을 두고 사측과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서 6년 만에 총파업에 나섰다. 당시 파업 첫날인 지난해 11월30일 오후 6~8시 기준 운행률은 85.7% 수준으로 집계되는 등 지하철 운행이 지연됐다. 다만 당시 파업은 사측이 한발 물러서면서 하루 만에 종료된 바 있다.
이번 파업의 최대 쟁점은 인력 감축 문제다. 서울교통공사는 재정 악화를 해결하기 위해 2026년까지 전체 정원 1만6367명의 13.5%인 2212명을 감축하겠다는 입장이다.
서울교통공사는 파업에 대비해 필수 유지업무 실무 협정을 체결하는 등 파업에 대비하고 있다. 자연 재난이나 미세먼지 등 사회재난 발생 때는 파업 중이라도 필요한 범위 내 근무에 복귀시킬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외에도 분야별 비상 수송 대책을 시행해 출·퇴근 시간대 운행시격을 유지하는 등 파업에 대비할 계획이다.
한편, 경기도 버스노조도 이날 한국노총 52개 노조의 대표자와 간부들 200여명이 참석하는 파업결의대회를 충남 보령에서 개최해 구체적인 세부 투쟁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들은 수도권 동일임금과 준공영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고,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조정이 이뤄지지않을 경우 26일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brunch@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