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가 100억 원을 들여 인공지능 CCTV를 전국 철도역에 설치하고 있습니다. AI로 이상행동을 탐지해 범죄 예방을 하겠다는 취지인데, 정작 AI 기술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고 있는 걸로 확인됐습니다.
노동규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야간에는 무인점포로 운영하는 편의점.
경비를 책임지는 건 AI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CCTV'입니다.
AI가 실시간 영상을 분석해 노숙자 등 장시간 체류자를 집어내고, 다급한 비명에도 반응합니다.
폭력이나 난동 등 이상 행동이 감지되면 경비업체와 점주에게 통보되니 범죄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윤명섭/BGF리테일 책임 : 근무자는 없지만 '관제되고 있다'는 부분에서 든든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전국 주요 철도역사에도 이런 AI CCTV가 설치되고 있습니다.
보통 1시간 걸리는 육안 분석을 AI는 6분 만에 완료하니 범죄 대응 속도를 높일 수 있는데, 국토부는 지난해 이상행동 탐지 시범 적용을 시작으로 내년까지 5천여 대 설치를 마친다는 계획이었습니다.
40여 대를 설치한 서울 용산역에 가봤습니다.
AI가 탐지하는 '이상 행동' 가운데 '폭력'을 가장한 몸짓을 여러 차례 반복했지만, 반응이 없습니다.
이번엔 '쓰러짐'과 '방치' 행동, 역시 오래도록 출동 소식이 없습니다.
[철도특별사법경찰 : (혹시 보이셨어요? 한참 쓰러져 있었거든요?) 아 그랬어요? 모니터 상에 우리가 뭐, 실제 업무에 적용하고 이런 단계까진 현재 아니거든요?]
지금까지 AI CCTV에 들어간 예산은 약 100억 원, 국토부는 내년에도 추가로 100억 원을 요청해 놓은 상태입니다.
국토부는 아직 AI 관제가 모두 적용된 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이미 도입 전 연구에서 사람이 많은 철도 환경에서는 이상행동 탐지율이 크게 떨어진다는 결과가 도출돼, 한계가 예상됐던 사업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민홍철/국회 국토교통위원 (민주당) : (이상행동 탐지 같은) 가장 핵심기술을 아직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마치 200km로 달릴 수 있는 자동차를 100km로 달리게 하는 건 예산을 낭비하는 셈입니다.]
추가로 설치 대수만 늘릴 게 아니라 기술적 취약점에 대한 보완이 필요합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양두원, 영상편집 : 박기덕, CG : 김한길)
노동규 기자 laborstar@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